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베이지안 추정법을 이용한 주택선택의 다항프로빗 모형 분석Analysis of Housing Choice Using Multinomial Probit Model – Bayesian Estimation -

Other Titles
Analysis of Housing Choice Using Multinomial Probit Model – Bayesian Estimation -
Authors
박상수이충기
Issue Date
2011
Publisher
한국재정정책학회
Keywords
Housing choice; multinomial probit model; Bayesian estimation; 주택선택; 다항프로빗 모형; 베이지안 추정법; Housing choice; multinomial probit model; Bayesian estimation
Citation
재정정책논집, v.13, no.4, pp.33 - 62
Indexed
KCI
Journal Title
재정정책논집
Volume
13
Number
4
Start Page
33
End Page
62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13984
ISSN
1738-2831
Abstract
환경, 에너지, 교통 분야의 수요 분석 및 예측에 많이 응용되는 이산선택모형(discrete choice model)은 대부분 로지스틱 분포를 가정하고 있으며, 주택선택과 관련한 선행연구들도 대안들 간 독립성을 가정하는 다항로짓(multinomial logit) 모형의 다양한 형태로 분석되었다. 이에 비해 본 연구는 대안들간의 독립성 가정을 완화한 다항프로빗(multinomial probit)모형을 설정하였고, 이를 추정하기 위해 Gibbs sampling을 이용한 베이지안 추정방법을 주택선택 문제에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안들 간의 독립성 가정이 충족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기준대안이 아닌 다른 대안의 비용이 기준대안보다 높아지면 소비자가 그 대안을 선택할 가능성이 떨어지고 기준대안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안들의 비용이 동일할 경우 소득이 높아질수록 아파트-소형에 비해 아파트-대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거환경요인변수 중에서 구입당시의 가격,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 교육여건 등은 유의수준 5%에서 유의적인 계수값이 존재하였다. 이는 각 변수가 각각의 대안과 기준대안 사이의 선택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일례로서 향후 집값상승에 대한 기대가 큰 가구일수록 대형단독주택에 비해 소형아파트나 소형단독주택을 선택할 확률이 높음을 의미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Political Science & Economics > Department of Economic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Sang Soo photo

Park, Sang Soo
정경대학 (경제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