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인의 영화 취향 구조: 영화취향을 통해 드러나는 한국사회의 상징적 배제The Structure of Film Taste in Korea: The Form of Symbolic Exclusion in Film Taste

Other Titles
The Structure of Film Taste in Korea: The Form of Symbolic Exclusion in Film Taste
Authors
권혜원이명진최샛별
Issue Date
2011
Publisher
여가문화학회
Keywords
film; taste; symbolic exclusion; popular culture; 영화; 취향; 상징적 배제; 대중문화
Citation
여가학연구, v.9, no.1, pp.1 - 26
Indexed
KCI
Journal Title
여가학연구
Volume
9
Number
1
Start Page
1
End Page
26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14492
ISSN
2233-8179
Abstract
본 연구는 대중적인 여가 매체 중 하나인 영화 취향의 구조를 통해 한국사회의 상징적 배제의 모습을 살펴본다. 영화 취향을 연구한 한국 선행연구들이 기초로 하고 있는 피터슨과 컨(Peterson and Kern, 1996), 브라이슨(Bryson, 1996)의 연구와 함께 바넷과 앨런(Barnett and Allen, 2000)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활용한 영화 취향의 측정방식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영화 장르에 대한 선호와 혐오의 폭을 통해 영화 장르 취향의 관용성을 측정하는 방식이고(Bryson, 1996; Peterson and Kern, 1996), 두 번째는 국내/국외의 영화 국적과 예술성/상업성/영화사적 의미의 영화 특성의 구분에 따라 개별 영화의 관람을 측정하는 방식이다(Barnett and Allen, 2000). 분석 결과, 문화적으로 배제된 집단(고령자, 저소득자, 저학력자)일수록 선호하는 영화장르의 수가 적고, 혐오하는 영화장르는 많았다. 또한 상층계급일수록 한국 상업성영화와 한국 예술성영화를 더 많이 관람하며, 고급예술에 친숙할수록 국외 상업성영화, 국외 예술성영화와 국내외 영화사적 의미를 가진 영화를 더 많이 관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사회에서 대중문화의 영향력이 점차 강력해지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대중적인 여가활동의 하나인 영화 취향이 한국사회의 상징적 배제를 드러내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Soc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Myoung Jin photo

Lee, Myoung Jin
문과대학 (사회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