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티베트 가면극의 역사와 연희양상The history and performing aspects of Tibetan mask dramas

Other Titles
The history and performing aspects of Tibetan mask dramas
Authors
전경욱
Issue Date
2011
Publisher
남도민속학회
Keywords
참; 장희; 설돈절; 파드마삼바바; 당동걸포; 백면구희; 남면구희; Cham; Janghee; Suldonjul(雪頓節); Dangdonggulpo; Baekmyunguhee(白面具戱; white mask play); Nammyunguhee(藍面具戱; blue mask play)
Citation
남도민속연구, no.23, pp.349 - 383
Indexed
KCI
Journal Title
남도민속연구
Number
23
Start Page
349
End Page
383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14739
ISSN
1975-4728
Abstract
티베트의 가면극은 크게 종교가면극인 ‘참(cham)’과 민속가면극인 ‘장희(藏戱)’의두 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참은 파드마삼바바가 가져온 ‘이른바 교외별전(敎外別傳)의 밀종 금강무’를 기초로티베트 고유의 분교(苯敎)의식과 민간의 동물을 모방한 토템무, 인물가면무, 고고무(古鼓舞) 등의 예술요소를 흡수하고 무도형식을 이용하여 마귀를 항복시키는 이야기를 연출한 것이다. ‘참’가면은 대체로 흉상(凶相)가면․선상(善相)가면․동물가면 등 세 가지 유형으로나눌 수 있다. 각 종파는 각자의 교의(敎義)에 의거해 영마파의 참, 갈거파의 참, 의참, 하로파의 참, 격로파의 참 등을 성립시켰다. ‘장희’는 8세기에 생겨난 ‘참’이나 11세기를 전후하여 종합예술로 발전했던 민간의설창 가무가 발전하여 14세기 말에서 15세기 말까지 살았던 고승 당동걸포에 의해성립되었다는 학설이 유력하다. 장희의 가면은 기능과 조형에 따라 온파가면, 인물가면, 동물가면, 신무가면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장희는 백면구희․남면구희․덕격희․창도희․안다희․목아희와 가융희 등 여섯 종류가 있다. 매년 티베트력으로 6월이 되면 한 달 동안 설돈절(雪頓節)을 거행한다. 12개의 장희를 포함하는 공연단체들이 라싸의 노브링카에 모여서 각종의 다채로운 공연을 연출한다. 이는 5세 달라이라마 때부터 시작된 풍속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eon, Kyung Wook photo

Jeon, Kyung Wook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