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교원능력개발평가 정책분석 및 발전방향 탐색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uthors
이경호
Issue Date
2010
Publisher
한국교원교육학회
Keywords
Teacher evaluation system; Teacher' s quality; Professional development; Cooper; 교원능력개발평가; 전문성 신장; 책무성; 공정성; COOPER
Citation
한국교원교육연구, v.27, no.3, pp.43 - 68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교원교육연구
Volume
27
Number
3
Start Page
43
End Page
68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17392
DOI
10.24211/tjkte.2010.27.3.43
ISSN
1738-7256
Abstract
본 연구는 2010년 3월부터 학교현장에 전면 도입되어 시행중인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종합적으로 분석·진단하고, 이 제도의 안정적 정착 및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추진과정 및 주요내용을 살펴보고, 이 제도를 Cooper, Fusarelli와 Randall이 고안한 4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사용하여 규범적 차원(Normative-dimension), 구조적 차원(Structual-dimension), 구성적 차원(Constituent-dimension), 그리고 기술적 차원(Technical- dimension)으로 나누어 분석·진단한다. 규범적 차원에서는 전문성, 공정성, 책무성을 분석요소로 하고 수준별 맞춤형 연수 및 컨설팅 제공과 학습조직 구축, 사전연수 강화, 평가를 위한 다양한 자료원(source) 제공, 효과적인 결과활용을 제안하며, 구조적 차원에서는 정책집행 구조, 다원적 평가체제, 운영체제를 분석요소로 하고 단위학교 실정에 맞는 평가시스템 구축, 다원적 평가체제의 일원적 평가체제로의 통합, 교사들의 특성과 발달단계에 맞는 연수 프로그램 제공 등을 제안한다. 구성적 차원에서는 정부, 교원, 학부모 및 학생을 분석요소로 하고 학교구성원들 간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조속한 입법화와 동료평가에 교육전문가 참여,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 질문지가 주로 수업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될 것을 제안한다. 기술적 차원에서는 교육 및 홍보, 법제화, 온라인 평가시스템을 분석요소로 하고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교육과 홍보의 강화, 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법제화, 온라인 평가시스템에 대한 가이드 라인과 별도 인증 제공 등을 제안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