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성리학적 귀신론의 틈새와 귀신의 귀환-조선 전·중기 필기·야담류의 귀신이야기를 중심으로-The Fissures of Neo-Confucian System of Thought and Return of the Guishins(鬼神)

Other Titles
The Fissures of Neo-Confucian System of Thought and Return of the Guishins(鬼神)
Authors
강상순
Issue Date
2010
Publisher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Keywords
성리학적 귀신론; 귀신; 틈새; 외밀성; 조령; 신비주의; Neo-Confucian theory of ghosts(性理學的 鬼神論); Guishin(鬼神); Theoretical․ethical․réel fissures; Extimité; Ancestral spirit(祖靈); Mysticism
Citation
고전과 해석, v.9, pp.195 - 226
Indexed
KCI
OTHER
Journal Title
고전과 해석
Volume
9
Start Page
195
End Page
226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17588
ISSN
1975-8499
Abstract
본고는 성리학적 사유체계를 받아들이고 실천하고자 한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정신세계에 어떻게 귀신이 귀환하는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우선 1절에서는 성리학적 사유체계와 귀신의 관계에 대해 검토한다. 성리학적 사유체계는 귀신을 자연원리화함으로써 혹은 자연의 운동 그 자체를 귀신화함으로써 인격적 실체로서 초자연적인 성격을 지닌 귀신의 존재 근거를 제거해버렸다. 하지만 성리학적 귀신론은 그 체계성과 논리성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차원의 틈새, 곧 이론적·윤리적·실재적 틈새라고 부를 수 있을 만한 균열들을 안고 있었다고 여겨진다. 2절에서는 이러한 틈새에 대해 검토한다. 우선 귀신을 음양의 운동으로 자연화하는 성리학의 역학적 우주론과 제사를 흠향하는 조상 신령의 실체적 존재를 요청하는 실천적 윤리학 사이에 이론적 균열이 존재했다. 이 틈새는 종법적 가족질서가 강화되고 유교적 상제례가 중시될수록 더욱 커질 수밖에 없었다. 다음으로 성리학의 일원론적이고 현세주의적인 사유체계와 목적론적이고 도덕주의적인 세계관 또한 심각한 자기모순 혹은 균열을 노출할 수 있다. 특히 전란이나 전염병, 사화나 당쟁 같이 부조리해 보이는 재난은 이러한 균열을 더욱 심각하게 인지하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귀신에게는 성리학적 귀신론으로 결코 해소할 수 없는 비논리적인 존재감과 주체를 매혹하는 무의식적인 힘이 있다. 이는 성리학적 이념과 도덕에 의해 억압되거나 배척된 욕망과 충동들을 환기시키는 그와 같은 외밀한 존재들에게 주체의 무의식이 공명하기 때문이다. 귀신은 이와 같은 틈새들을 통해 상징화/의미화될 수 없는 실재가 환각적인 이미지의 형태로 되돌아올 때, 그리고 주체가 상상적 이미지의 형태로 되돌아온 실재의 조각을 통해 틈새를 봉합하고 재구축하고자 시도할 때 출현한다. 3절에서는 특히 『어우야담』에서부터 대거 출몰하기 시작하는 祖靈을 중심으로 그러한 귀신이 두드러지게 출현하게 된 역사적 맥락과 의미에 대해 검토한다. 조령은 16세기 이래 사족층을 중심으로 고조된 상제례에 대한 이론적 관심과 실천적 열의를 타고 재래의 신비주의적이고 주술적인 귀신 숭배 관념과 결합하였다. 즉 재래의 다양한 귀신들을 배척하고 추방하여 생긴 빈 공간을 새롭게 채우며 존재론적 불안을 달래준 것은 조상귀신들이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전란으로 인한 도덕적 무규범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성리학적 예의 규범, 특히 유교적 상제례를 더욱 강조했던 것도 이러한 귀신에 대한 믿음을 더욱 확산시킨 계기가 되었다고 여겨진다. 그런데 이러한 조령의 존재는 한편으로는 성리학적 가치와 도덕을 고무하고 지탱해주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성리학적 귀신론이 해체하고자 했던 주술적이고 신비주의적인 귀신 관념을 다시 불러들인다. 그런 점에서 조선 중기 이후 유교적 상제례와 함께 조령 숭배 관념이 확산되어 간 것은 유교화의 진전이면서 동시에 유교의 신비주의화 과정이기도 하다고 말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ssociate Research Center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