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지각된 유능감과 교실목표구조에 의한 동기 변인 예측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Social Support as a Mediator in the Prediction of Motivation by Perceived Competence and Classroom Goal Structures

Other Titles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in the Prediction of Motivation by Perceived Competence and Classroom Goal Structures
Authors
전훈봉미미김성일
Issue Date
2010
Publisher
한국교육심리학회
Keywords
academic motivation; social support; test anxiety; classroom affec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학습동기; 사회적 지지; 시험불안; 교실정서; 구조방정식모형
Citation
교육심리연구, v.24, no.4, pp.999 - 1027
Indexed
KCI
Journal Title
교육심리연구
Volume
24
Number
4
Start Page
999
End Page
1027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17662
ISSN
1225-4290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수학과 영어 교과를 중심으로 학습자 개인의 지각된 유능감과 교실목표구조, 사회적 지지 및 학습동기 변인 사이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사회적 지지 변인인 교사지지와 동료지지가 교실목표구조와 동기 변인 사이를 매개하는지 여부를 구조방정식모형(SEM)의 적용을 통해 분석하였다. 중학교 2학년 학생 32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몇 가지 흥미로운 결과가 관찰되었다. 첫째, 지각된 유능감은 수학과 영어 두 교과 모두에서 교사와 동료지지 및 자기효능감,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그리고 긍정적 교실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교실숙달목표구조는 두 과목 모두에서 교사지지, 동료지지, 숙달목표를 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교실수행목표구조는 교사지지와 동료지지는 부적으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 및 시험불안은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교사지지 변인은 예상과 달리 긍정적 교실정서 뿐 아니라 시험불안의 정적 예측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반면, 동료지지는 두 과목 모두에서 숙달목표의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지지와 동료지지 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이들 두 사회적 지지 변인은 지각된 유능감 및 교실목표구조가 학습자의 인지적·정서적 동기 변인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부분적인 매개변인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사회적 지지 변인의 매개효과는 교과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는 일관된 양상을 보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ung il photo

Kim, Sung il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