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에서 C-reactive Protein 및 아디포카인과 대사위험인자와의 관계Relationship Between C-reactive Protein, Several Adipokines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Korean Children
- Other Titles
- Relationship Between C-reactive Protein, Several Adipokines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Korean Children
- Authors
- 이혜진; 윤경은; 박혜순; 김선미; 최경묵
- Issue Date
- 2009
- Publisher
- 대한비만학회
- Keywords
- C-reactive protein; adipokine; children; metabolic risk factors; C-reactive protein; Adipokines; Children; Metabolic risk factors
- Citation
-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v.18, no.4, pp.158 - 166
- Indexed
- KCI
OTHER
- Journal Title
-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 Volume
- 18
- Number
- 4
- Start Page
- 158
- End Page
- 166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21098
- ISSN
- 2508-6235
- Abstract
- 연구배경: 소아에서도 C-reactive protein(CRP) 와 몇몇 아디포카인이 비만과 심혈관계 위험인자와의 연관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춘기 전기 소아에서 혈청 CRP 및 몇몇 아디포카인 중 어떠한 것이 대사위험인자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8~9세 사이의 사춘기 전기 소아 중에서 만성질환 및 급성 감염성 질환이 없는 남아 149명(과체중군 90명, 정상체중군 59명), 여아 175명(과체중군 105명, 정상체중군 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체계측, 혈압측정 및 혈액검사를 실시하였고, 혈청 hs-CRP, adiponectin, tumor necrotic factor-α (TNF-α), vaspin, retinol-binding protein 4 (RBP4)농도를 측정하였다. 상관분석을 시행하여 hs-CRP및 측정한 아디포카인 농도가 대사위험인자와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았고 상관분석에서 유의하게 나온 지표에 대해서는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남아에서 혈청 hs-CRP농도는 BMI (r = 0.339, P < 0.001), 허리둘레(r = 0.356, P < 0.001), 수축기혈압(r = 0.183, P < 0.05), 이완기혈압(r = 0.168, P < 0.05), ALT (r = 0.311, P < 0.001), insulin (r = 0.226, P < 0.05), HOMA-IR (r = 0.199, P < 0.05)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여아에서는 BMI (r = 0.332, P < 0.001), 허리둘레(r = 0.311, P < 0.001), Triglycerides (r = 0.177, P < 0.05), HDL-C (r = -0.232, P < 0.001), ALT (r = 0.152, P < 0.05), insulin (r = 0.238, P < 0.01), HOMA-IR (r = 0.233, P < 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BMI가 혈청 hs-CRP농도를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adiponectin농도는 남아에서 혈청AST및 ALT와 여아에서 혈청 ALT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남아에서는 TNF-α, vaspin, RBP4는 어떤 지표와도 관련성이 없었고, 여아에서는 TNF-α는 혈청 glucose 농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vaspin은 혈청 glucose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hs-CRP만이 BMI, 허리둘레, 인슐린저항성지표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고 adiponectin, TNF-α, RBP4, vaspin과 대사위험인자와는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아 더 많은 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Medicine >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