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朝鮮 後期 漢詩의 變異 類型에 대한 一考察A study for the aspects of transition in late chosun's chinese poetry

Other Titles
A study for the aspects of transition in late chosun's chinese poetry
Authors
박종우
Issue Date
2009
Publisher
한국시가학회
Keywords
late chosun' s chinese poetry; irregular chinese poetry; Yukdam Poongwol(肉談風月); Urnmoon Poongwol(諺文風月); popularization; Hangul(한글); Korean classical poetry; 조선후기; 破格型 漢詩; 變體漢詩; 肉談風月; 諺文風月; 김삿갓; 諺文; 眞書; 희작화; 통속화; 狂詩; late chosun' s chinese poetry; irregular chinese poetry; Yukdam Poongwol(肉談風月); Urnmoon Poongwol(諺文風月); popularization; Hangul(한글); Korean classical poetry
Citation
한국시가연구, v.27, pp.351 - 377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시가연구
Volume
27
Start Page
351
End Page
377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21376
DOI
10.32428/poetry.27..200911.351
ISSN
1226-5578
Abstract
이 글은 조선 후기 漢詩 形式의 變異 類型과 양상을 살펴보면서,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破格型 漢詩․肉談風月․諺文風月의 양식적 변별점을 확인하고 그 詩歌史的 의미를 재검토한 것이다. 조선 후기 일군의 한시에 나타나는 형식상의 변이 현상은, 한자와 한글의 갈등과 소통이라는 당대의 문화적 분위기 속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진행되었으며, 한시의 파격화와 더불어 나타난 육담풍월이나 언문풍월은 그러한 분위기에서 산생된 독자적이고 새로운 시가 양식임을 확인하였다. 한시에서 한자와 한글의 결합은 상층과 하층의 문화적 소통의 매개 과정이기도 하며, 상호대립적 존재간의 문화적 소통은 나아가 문화 변동의 양상이자 요인이 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분명히 한시는 형식의 변이 과정을 겪으면서 육담풍월․언문풍월은 몰론 시조, 가사, 판소리, 민요 등과 같은 인접한 국문 문학 양식과도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 받았다. 조선 후기는 우리 문학사에 있어서는 疏通의 시대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한문과 한글의 장르 간 混種․移接 현상은 끊임없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문화적 변화의 흐름 속에 肉談風月이나 諺文風月과 같은 새로운 문학 양식의 생성을 촉발하는 계기가 된 것임을 밝혔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ssociate Research Center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