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메멘토 모리(Memento Mori)’의 정치학 : 부음(訃音)기사(중앙일보 <삶과 추억>)에 나타난 집합기억과 망각의 구성The Politics of “Memento Mori” : Social Construction of Death Represented in Obituaries of A Korean Newspaper

Other Titles
The Politics of “Memento Mori” : Social Construction of Death Represented in Obituaries of A Korean Newspaper
Authors
이완수박재영노성종이수미강충구
Issue Date
2009
Publisher
한국언론학회
Keywords
부음기사; 사회적 현실 구성; 집합기억; 남성 지배적 가치; 직업 중심적 가치; 사회적 계층성; obituary;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collective memory; gender inequality; social value; social stratification; obituary;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collective memory; gender inequality; social value; social stratification
Citation
한국언론학보, v.53, no.5, pp.221 - 243
Journal Title
한국언론학보
Volume
53
Number
5
Start Page
221
End Page
243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21397
Abstract
부음기사는 단순히 망자(亡者)의 죽음을 알리는 보고체계(reporting system)라기 보다는, 부음을 읽는 이들이 살고 있는 사회의 권력관계를 반영하고 구성하는 일종의 상징체계(symbolic system)이다. 우리는 이 점에 착안해 중앙일보 부음기사 <삶과 추억>에 대한 내용분석 연구를 수행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기사의 내용에서 관찰되는 성별 분포, 직업적 가치의 특성, 사회적 계층성 등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결과, 부음기사는 망자, 유가족, 기사 작성자의 분포에 있어서 성별, 직업 및 업적 프레임 방식, 학력, 출생지역 등에서 불균등한 분포가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위(social ranking)에 있어서도 일정한 편향이 발견됐다. 부음기사에서 다루어지는 망자는 주로 남성이며, 사회 권력층을 구성하는 특정 직업과 출신 지역 및 유명 대학 출신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망자의 삶에서 중요한 업적을 조명하는 데는 사회적 기여보다 개인적 성취에 방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음기사가 망자의 죽음을 사회 구성원들에게 단순 고지(告知)하는 행위에 제한돼있기 보다는 사회적 권력관계에 의해 구성된 집합기억의 산물이라는 발견과 그 함의 및 후속 연구의 가능성을 논의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Media & Communication > School of Media & Communi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Jae yung photo

Park, Jae yung
미디어학부 (미디어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