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선후기 문예이론에 있어 趣 개념과 그 의미A Study on Chwi(趣) and the Related Concepts in late Chosun

Other Titles
A Study on Chwi(趣) and the Related Concepts in late Chosun
Authors
정우봉
Issue Date
2009
Publisher
우리한문학회
Keywords
趣; 興趣; 眞趣; 情趣; 味; 韻; 文趣; 미학 개념; Chwi(趣); Mood(興趣); Mi(味); Un(韻); Aesthetic Concepts; Chwi(趣); Mood(興趣); Mi(味); Un(韻); Aesthetic Concepts
Citation
漢文學報, v.21, pp.417 - 444
Indexed
KCI
Journal Title
漢文學報
Volume
21
Start Page
417
End Page
444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21408
ISSN
1229-4136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후기 문예이론에서 趣와 그 연관 개념의 함의, 특징, 시대적 의의를 살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는 ‘趣’ 개념의 함의와 그 성격을 밝히는 데 있어 두 가지 문제의식에 유의하였다. 첫째, 趣라는 미학 개념의 함의와 성격을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 해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나의 비평 개념, 미학 개념이 어떠한 문맥에서 어떤 함의를 갖고 운용되고 있으며, 그 성격은 무엇인지를 밝히는 작업은 현단계 비평사, 미학사 연구에서 요청되는 과제의 하나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 점에 유의하여 趣 개념과 관련된 자료들을 광범위하게 수집 정리하여 趣의 기본적 함의와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趣와 연관된 일련의 개념군 - 興趣, 眞趣, 情趣 등 - 을 함께 다루었다. 둘째, 조선후기 문예이론에서 운용되었던 많은 비평용어들 가운데 ‘趣’는 조선후기의 새로운 미의식의 등장과 전개를 밝히는 데에 매우 유용한 개념의 하나이다. 특히 산수 완상, 서화고동 감상 등의 취미 확산, 그리고 이에 따른 소품문의 발달에는 여기에서 언급하고 있는 ‘趣’ 개념이 하나의 이론적 논리를 제공하는 핵심 용어로 사용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들 두 가지 문제의식을 접목시켜 趣 개념의 함의와 성격을 보다 입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UNG, Woo Bong photo

CHUNG, Woo Bong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