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토양생태와 질 (토양오염)Soil Ecology and Quality (Soil Contamination)

Other Titles
Soil Ecology and Quality (Soil Contamination)
Authors
정광용김원일김정규김태승노기안정덕영양재의이경보이덕배이종식윤순강장기운
Issue Date
2009
Publisher
한국토양비료학회
Keywords
Soil Ecology; Soil Contamination; Soil Management and Regulation; Pollution Monitoring; Soil Restoration
Citation
한국토양비료학회지(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v.42, no.3, pp.212 - 237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토양비료학회지(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Volume
42
Number
3
Start Page
212
End Page
237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22005
ISSN
0367-6315
Abstract
토양의 생태계는 농업생태계의 핵심인 동물과 식물의 건강한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역으로서 최근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토양 생태계를 위협하는 화학물질도 중금속과 농약에서 유류,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화학물질, 잔류성이 긴 P O P s , 난연제 물질, 내분비계 교란 물질 등으 로 다양해 지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해진 토양오염 유발물질에 의한 토양환경 오염과 오염된 토양에 의한 수계와 동식물 생체로의 전이와 가시적인 피해현상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오염된 토양환경을 복원하는 정화기술이 “Remediation”이라는 하나의 학문영역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토양오염 복원 사업은 다양한 기술체계가 융합된 사업영역으로도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관련법령이 정비되고 많은 연구성과들이 축적됨으로서 폐광산 지역의 중금속 오염방지를 위해 지식경제부 소관의 광해방지 사업단이 활동을 하고 있고, 유류나 기타 유해 화합물에 오염된 토양의 정화기술 분야도 민간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응용기술들이 개발 이용되고 있다. 농 업분 야 는 지난 4 0 년간 한 국토양 비료학회를 중심으로 농작물 생산기반으로서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조사, 평가, 오염 대책기술들이 개발 이용되고 있다. 특히 농업분야와 환경분야 공히 1995년 토양환경보전법, 1997년도에는 친환경농업육성법이 제정됨으로서 좀 더 체계적인 토양환경 문제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정부 지원에 힘입어 많은 학술적인 성과를 달성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최근 많은 연구성과가 있었으나 우리나라의 토양환경 관리 기술은 아직도 초 보단계에 머물고 있다. 토양환경 기준도 외국의 사례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제한된 항목, 즉 17항목을 대상으로 관리하고 있다. 또한 토지 이용목적에 따른 지목 구분도 가, 나 2단계로 구분하고 있으며, 최근 이를 3단계로 세분화하는 안이 검토되고 있다. 농업분야에서 농경지 토양오염도 조사는 정기적으로 실행이 되고 있으나 분석대상은 오염기준항목 17개 중 Cd, Pb, Cu 등 비교적 분석이 용이한 4 ~ 7항목만을 대상으로 하여 타 분야의 조사결과와 상호 호환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향후에는 토양비료학회도 토양환경기준과 관련해서는 토양환경관리 주체인 환경분야 사업에도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토양의 환경기준설정과 조사사업 수행에 적극적인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 토양오염원의 토양 중 행동이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도 국가 차원의 연구계획이 없이 연구자 개개인의 관 심에 따 라 설계되고 보 고된 내용들이라 그간의 성과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토양비료학 발전단계에서 환경오염과 관련된 연구는 토양 조사 및 분류, 토양 물리성과 화학성 개선 등 농업 생산성과 관련된 분야보다 후 순위에 있었기 때문에 관련 연구논 문 발표건수와 발표 내용도 상대적으로 빈약하다. 현재 생산성보다는 농산물의 안전성과 사람의 건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앞으로는 검토하지 못한 다양한 농경지토양 오염 후보물질에 대한 목록도 작성하고 우선순위를 정하여 체계적인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국제교역에서 종종 문제가 되고 있고, 잔류기간이 긴 화학물질에 의한 토양오염과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2차 식품오염 문제가 제기되지 않도록 토양비료학회 차원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현재 우리나라의 농경지 중 중금속 등 오염문제가 발생하여 복원이 필요한 면적은 비농경지를 포함하여 1999년 기준 약 8,300ha 로서 전체 농경지 대비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다. 그러나 토양오염은 오염된 농산물에 대한 사회적 관심 때문에 그 영향력은 매우 큰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정부는 1995년부터 국내 전국에 산재해 있는 폐광산 약 500 개소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복원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그 외 일부 유류 오염토양에 대한 복원과 군부대, 철도 부지 등에 대한 오염복원 사업이 시행되고 있으나 이는 농경지가 아니다. 농업부분에서는 중금속을 대상으로 석회, 퇴비 등 개량제를 사용하는 방법, 오염된 농경지에 비식용작물을 심어 토양 중금속을 흡수 제거하는 방법이 실용적인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 그 외에도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흡착과 탈착이론을 이용한 기술이나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연구도 실험실 규모로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앞으로 농업분야에서는 산업화 규모의 오염복원 보다는 작물이 재배되는 토양생태계 건전성과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염두에 둔 토양오염 대책기술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는 농경지 토양 보전과 안정적인 작물생산을 위한 별도의 농업환경기준이 설정되고, 이에 합당한 토양오염원 관리 기술체계가 정착되도록 학회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