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9세기 백자 연적과 계영배(戒盈盃)를 통해 본 조선시대 기교자기 제작의 함의(含意)Production Implication of Joseon Technical Porcelain Focusing on the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and the Siphoned Cup during the 19th Century

Other Titles
Production Implication of Joseon Technical Porcelain Focusing on the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and the Siphoned Cup during the 19th Century
Authors
방병선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미술사학회
Keywords
19th century; Chinese ceramics; 조선(朝鮮); 백자(白瓷); 조선백자(朝鮮白瓷); 백자청화투각운룡문연적(白瓷靑畵透刻雲龍文硯滴); 도류호(倒流壺); 계영배(戒盈盃); 공도배(公道盃); 기교자기(技 巧瓷器); 19세기(19世紀); 중국도자(中國陶瓷); Joseon; Porcelain; Joseon Porcelain; Blue and white water dropper with openwork dragon and cloud design; Siphoned jar; Korean Siphoned Cup; Chinese Siphoned Cup; Technical porcelain
Citation
미술사학연구, v.309, no.309, pp.79 - 105
Indexed
KCI
Journal Title
미술사학연구
Volume
309
Number
309
Start Page
79
End Page
105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29838
ISSN
1225-2565
Abstract
본 논문은 19세기 <백자청화투각운룡문연적>과 <백자계영배>의 제작기법과 원류를 고찰하여조선시대 기교자기 제작배경과 성격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두 작품의제작기법과 관련문헌 고찰을 통해 사이펀의 원리가 어떻게 적용되었는지와 계영배 명칭의 사용례를살펴보았다. 또한 고려청자와 조선백자에서 동일한 기법으로 제작된 예를 통해 형식을 나누었다. 다음기법의 원류를 알아보기 위해 중국 송대와 청대에 걸쳐 도류주자와 공도배 등을 고찰하여 조선기법과의 유사점을 고찰하였다. 끝으로 18세기 이후 북학파와 왕실 관련 기록 등의 고찰을 통해조선시대 기교자기 제작이 중국자기의 수용과 선택적 모방 등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계영배의 경우 중국 공도배 기술 수용과 달리 양식적으로는 조선 수요층의 기호를 반영하였음을설명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Bang, Byung Sun photo

Bang, Byung Sun
고고미술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