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노계 가사의 유교문화적 심상공간과 그 의미 지향Confucian cultural imagery Space and Its Implications of Nogye-gasa

Other Titles
Confucian cultural imagery Space and Its Implications of Nogye-gasa
Authors
이형대
Issue Date
2020
Publisher
국제언어문학회
Keywords
박인로; 노계가사; 유교문화적 심상공간. 장소; 공간표상; 선상탄; 태평사; 누항사; 사제곡; 독락당; 노계가; Nogye-gasa. Park Inro; Confucian cultural imagery space; Taepyeongsa; Sunsangtan; Nuhangsa; Sajegok; Dokrakdang; Nogyega.
Citation
국제언어문학, no.47, pp.7 - 32
Indexed
KCI
Journal Title
국제언어문학
Number
47
Start Page
7
End Page
32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1206
ISSN
1229-8468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노계 가사에서 유교문화적 심상공간 구성의 특징적 양상을 구명하는 것이다. 그동안 노계가사의 공간분석은 작품의생성 배경이 되는 실제 공간, 인본주의 지리학의 관점에서 주체에 의해 의미와 가치가 부여된 장소로서의 공간 분석 등이 이루어 지면서점차 심화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공간 분석은 모두 인간에 의해 경험된 공간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허구와 상상, 이미지와 상징까지 포괄하고 있는 시적 공간의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체험적 공간뿐만 아니라 초월적인 것까지도 포괄하는 심상공간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노계가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노계의 초기가사에는 대립적 공간표상이 두드러지는데 <태평사> 와 <선상탄>, 그리고 <누항사>가 이에 해당한다. 전쟁과 평화, 궁핍한현실과 청정한 강호 공간이 대립하면서 자연스럽게 전자의 공간에서후자의 공간으로 의미지향이 이동하는 시상 전개 방식을 취하고 있어주제 실현의 강렬성이 돋보인다. 그러나 이후의 작품들은 강호라는 동질적 공간으로 표상되는데, < 사제곡>, <독락당>, <입암별곡>, <소유정가>, <노계가>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표면적인 동질성의 내부에는 상당한 이질적 흐름들과정서 표현의 편차가 발견된다는 것이 특징이다. <사제곡>에서는 평담의 풍류와 전원적 삶의 지향이, <독락당>에서는 존현의 마음과 도체적 자연 표상이, <노계가>에서는 낭만적 흥취와 정신적 보상의 지향성이 두드러진다. 이 모든 노계가사의 배면에는 작자가 현실을 체념하거나 포기하지 않고 더 나은 삶을 향한 갈망이 강렬하게 자리잡고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Hyung dae photo

Lee, Hyung dae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