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해본 『삼강행실도』 ≪효자도≫의 원전(原典)과 텍스트 성립 과정에 대하여A Study on the Original Texts and Text Formation Process of ≪Hyojado(孝子圖)≫ in Samganghaengsildo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Original Texts and Text Formation Process of ≪Hyojado(孝子圖)≫ in Samganghaengsildo
- Authors
- 오민석; 김유범; 이규범
- Issue Date
- 2020
- Publisher
- 국어사학회
- Keywords
- Samganghaengsildo(三綱行實圖); Hyojado(孝子圖); Hyohaengnok(孝行錄); Hyosunsasil(孝順事實); 24hyodo(二十四孝圖); original text; Chinese text; Korean text; 삼강행실도; 효자도; 효행록; 효순사실; 이십사효도; 원전문; 한문; 언해문
- Citation
- 국어사연구, no.30, pp.187 - 238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국어사연구
- Number
- 30
- Start Page
- 187
- End Page
- 238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1306
- ISSN
- 1738-477X
- Abstract
- 본 연구는 언해본 『삼강행실도』 ≪효자도≫의 원전을 살펴보고 원전문과 한문 본문의 관계, 원전문과 언해문의 관계를 파악해 언해본 『삼강행실도』 ≪효자도≫ 텍스트의 성립 과정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효자도≫는 주로 『효순사실』, 『효행록』, 『이십사효도』와 같은 원전을 참고해 만들어졌는데, 특히 명나라 성조(成祖)의 칙찬으로 만들어진 『효순사실』(1420)은 ≪효자도≫의 체제 및 내용 구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효자도≫의 한문 텍스트는 인물, 지명, 시대 및 맥락상 유추 가능한 원전의 정보는 물론 다양한 문장 성분들을 생략하는 방식을 통해 구성되었다. 또한 ≪효자도≫의 언해문 텍스트는 한문 텍스트만을 그대로 언해한 것이 아니라 첨가, 변개, 생략 등의 방법을 통해 여러 원전들의 내용을 반영하고 때론 그림까지도 고려해 구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효자도≫의 텍스트들은 실제로 『효순사실』 본문과 시가 인용된 경우, 『효순사실』 본문과 시 그리고 『효행록』의 찬이 인용된 경우, 『효순사실』 본문과 시 그러나 『효행록』 찬이 빠진 경우, 『효행록』 본문과 찬이 인용된 경우, 『한시외전』 본문과 『효행록』에 없는 찬이 사용된 경우 등과 같은 인용 유형으로 그 성립 양상을 분석해 볼 수 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