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언해본 『삼강행실도』 ≪효자도≫의 원전(原典)과 텍스트 성립 과정에 대하여A Study on the Original Texts and Text Formation Process of ≪Hyojado(孝子圖)≫ in Samganghaengsildo

Other Titles
A Study on the Original Texts and Text Formation Process of ≪Hyojado(孝子圖)≫ in Samganghaengsildo
Authors
오민석김유범이규범
Issue Date
2020
Publisher
국어사학회
Keywords
Samganghaengsildo(三綱行實圖); Hyojado(孝子圖); Hyohaengnok(孝行錄); Hyosunsasil(孝順事實); 24hyodo(二十四孝圖); original text; Chinese text; Korean text; 삼강행실도; 효자도; 효행록; 효순사실; 이십사효도; 원전문; 한문; 언해문
Citation
국어사연구, no.30, pp.187 - 238
Indexed
KCI
Journal Title
국어사연구
Number
30
Start Page
187
End Page
238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1306
ISSN
1738-477X
Abstract
본 연구는 언해본 『삼강행실도』 ≪효자도≫의 원전을 살펴보고 원전문과 한문 본문의 관계, 원전문과 언해문의 관계를 파악해 언해본 『삼강행실도』 ≪효자도≫ 텍스트의 성립 과정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효자도≫는 주로 『효순사실』, 『효행록』, 『이십사효도』와 같은 원전을 참고해 만들어졌는데, 특히 명나라 성조(成祖)의 칙찬으로 만들어진 『효순사실』(1420)은 ≪효자도≫의 체제 및 내용 구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효자도≫의 한문 텍스트는 인물, 지명, 시대 및 맥락상 유추 가능한 원전의 정보는 물론 다양한 문장 성분들을 생략하는 방식을 통해 구성되었다. 또한 ≪효자도≫의 언해문 텍스트는 한문 텍스트만을 그대로 언해한 것이 아니라 첨가, 변개, 생략 등의 방법을 통해 여러 원전들의 내용을 반영하고 때론 그림까지도 고려해 구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효자도≫의 텍스트들은 실제로 『효순사실』 본문과 시가 인용된 경우, 『효순사실』 본문과 시 그리고 『효행록』의 찬이 인용된 경우, 『효순사실』 본문과 시 그러나 『효행록』 찬이 빠진 경우, 『효행록』 본문과 찬이 인용된 경우, 『한시외전』 본문과 『효행록』에 없는 찬이 사용된 경우 등과 같은 인용 유형으로 그 성립 양상을 분석해 볼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Yu pum photo

Kim, Yu pum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