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본조통감』의 상대(上代) 기년(紀年)과 외국 사서의 수용 - 『일본서기』 기년론과 관련하여Honcho tsugan ’s Calendar Era for the Ancient Times and the Acceptance of Foreign History Books: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Nihon Shoki ’s Calendar Era

Other Titles
Honcho tsugan ’s Calendar Era for the Ancient Times and the Acceptance of Foreign History Books: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Nihon Shoki ’s Calendar Era
Authors
박대재
Issue Date
2019
Keywords
『본조통감(本朝通鑑)』; 『일본서기(日本書紀)』; 『동국통감(東國通鑑)』; 『송서(宋書)』; 기년론(紀年論); 하야시 라잔[林羅山]; 하야시 가호[林鵞峰]; 나카 미치요[那珂通世]; 백제(百濟); Honcho tsugan; Nihon shoki; Dongguk tonggam; Songshu; theory on calendar era; Hayashi Razan; Hayashi Gahou; Naka Michiyo; Baekje
Citation
동북아역사논총, no.64, pp.7 - 48
Indexed
KCI
Journal Title
동북아역사논총
Number
64
Start Page
7
End Page
48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1527
ISSN
1975-7840
Abstract
1670년 편찬된 『본조통감』에서 『일본서기』와 『동국통감』이나 『송서』 등 외국사서의 기록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일본서기』 기년상의 문제점이 자연스럽게노정되게 되었다. 임진왜란 이후 『동국통감』이 일본에 전해지면서 『일본서기』 의 기년과 비교·검토할 수 있는 자료로 이용되었다. 에도시대 초기 『일본서기』 의 기년을 재인식하는 과정에서 『동국통감』이 일본 학계에 미친 영향을 제일 먼저 보여준 것이 바로 『본조통감』이다. 『일본서기』와 『동국통감』을 비교한 『본조통감』의 기년 비정 방식은 18세기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 등의 『일본서기』 기년회의론의 발판이 되었고, 19세기 말 나카 미치요[那珂通世]의 기년수정론으로 발전하였다는 데 사학사적 의의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Dae jae photo

Park, Dae jae
문과대학 (한국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