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교육수준과 건강의 관계: 소득과 통제감의 매개효과 비교Education and Health: Comparison between the Mediating Effect of Income and That of Personal Contro

Other Titles
Education and Health: Comparison between the Mediating Effect of Income and That of Personal Contro
Authors
김진영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보건사회학회
Keywords
교육년수; 주관적 건강; 심리적 고통; 가구소득; 통제감; Years of Schooling; Self-rated Health; Psychological Distress; Family Income; Sense of Control
Citation
보건과 사회과학, no.51, pp.133 - 151
Indexed
KCI
Journal Title
보건과 사회과학
Number
51
Start Page
133
End Page
151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1594
ISSN
1229-1633
Abstract
미국의 경우 교육수준과 건강의 관계를 매개하는데 있어, 통제감과 같은 심리적 자원이 핵심적 역 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교육이 심리적 자원을 육성하여 건강에 이로움을 준다는 인적 자본론은 미국에 잘 들어맞는 가설이다. 대립 되는 가설은 교육이 인적자본을 육성하기보다는 학력이 라는 상징자본을 통해 소득을 증가시키며, 이로 인해 건강 혜택이 있다는 학력주의 가설이다. 세 번 째 가설은 교육과 건강의 관계에서 통제감과 소득이 유사한 수준의 매개역할을 한다는 절충가설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전국성인에 대한 대표성을 갖는 한국건강불평등실태조사 자 료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19세 이상 2,028명이다. 결과에 따르 면, 미국과 달리 한국에서 통제감과 가구소득의 매개역할은 유사한 수준이었다. 미국과 비교하여, 통 제감의 매개역할은 더 작고 소득의 매개역할은 더 컸다. 한국에서는 학력주의로 인해 교육이 소득을 높이는 측면이 좀 더 강한 것으로 보이며, 소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적자본론이 우세한 미국과 달리, 한국의 경우 인적자본론과 학력주의론이 함께 적용될 필요가 있음을 함의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Soc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in young photo

Kim, Jin young
문과대학 (사회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