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古代 中國 鎭墓獸의 變容과 武寧王陵 鎭墓獸 再論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Ancient Chinese Zhenmushou(Guarding Animals in Tombs) and Genealogy on the Seoksu(Stone Image of an Animal Set Before a Tomb) in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Ancient Chinese Zhenmushou(Guarding Animals in Tombs) and Genealogy on the Seoksu(Stone Image of an Animal Set Before a Tomb) in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uthors
조윤재
Issue Date
2019
Publisher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Keywords
China; Nanzhao Dynasty; Baekje; Zhenmushou(Guarding Animals in Tombs); Royal Tomb of King Muryeong; Seoksu(Stone Image of an Animal Set Before a Tomb); Stone Carvings in the Tomb; 중국(中國); 남조(南朝); 백제(百濟); 진묘수(鎭墓獸); 무령왕릉(武寧王陵); 석수(石獸); 능원석각(陵園石刻)
Citation
백제연구, no.69, pp.49 - 70
Indexed
KCI
Journal Title
백제연구
Number
69
Start Page
49
End Page
70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1634
ISSN
1226-6906
Abstract
무령왕릉 석수는 고대 중국의 동한시기부터 등장하는 고분부장 진묘수에 그 근원을 두고 있으며 漢系(한나라 스타일) 진묘수의 전통을 계승한 남조의 고분부장 진묘수와 계보를 같이 하고 있다. 무령왕릉 석수의 출현은 백제 자체의 정치적 정황과 상장의례를 충분히 반영하는 한편 남조와의 대외적 관계를 고려한, 치밀하고 정교한 변용을 거친 산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현재까지 남조능묘 석각 및 고분부장 진묘수에 대한 시각은 대부분 이원적인 事象으로 인식함으로써 양자를 구분하여 고찰하는 경향이 우세하였다. 그러나 무령왕릉 석수에서 관찰되는 양자의 조합과 변용 양상을 배제할 수 없다. 이는 백제가 특정 시기 남조능원의 요소와 왕후 및 상층부의 상장의례를 동시에 감안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남경 및 주변 일대의 능묘석각에서 보이는 문양이 무령왕릉 석수에서도 관찰되는데, 날개[兩翼]와 같은 정교한 표현은 보이지 않지만 문양의 전체적인 유사성이 확인되고 있다. 이는 백제가 남조묘의 부장용 진묘수와 함께 지상의 진묘기물인 석각을 모두 參酌하였을 정황을 시사하는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