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사르트르의 상상력 이론과 뒤프렌의 미학 이론의 접점: 아날로공 개념을 중심으로A Comparative Study of Sartre's imagination theory and Dufrenne's aesthetic theory on a Concept of ‘analogon’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Sartre's imagination theory and Dufrenne's aesthetic theory on a Concept of ‘analogon’
Authors
지영래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영상문화학회
Keywords
Sartre; Mikel Dufrenne; Theory of imagination; Analogon; Aesthetic experience; 사르트르; 미켈 뒤프렌; 상상력 이론; 아날로공; 미적 체험
Citation
영상문화, no.35, pp.5 - 33
Indexed
KCI
Journal Title
영상문화
Number
35
Start Page
5
End Page
33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1681
DOI
10.21299/jovc.2019.35.1
ISSN
1598-1088
Abstract
력 이론과 그의 ‘비실재 미학’에서 핵심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아날 로공’ 개념이 지닌 의의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미켈 뒤프렌 (Mikel Dufrenne, 1910-1995)의 반론을 중심으로 그의 미적 지각에 대한 이론을 검토한다. 지각하는 행위와 상상하는 행위의 극단적인 이분법에 기초하고 있는 사르트르의 상상력 이론은 상상력(1936)과 상상계 (1940)라는 두 권의 저작에서 구체화되고 있고, 거기서 사르트르는 아름 다움이란 결코 실재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상상적인 것에만 적용될 수 있는 가치” 이고 따라서 “예술 작품은 하나의 비실재”라고 결론내리고 있 다. 이에 대해 뒤프렌은 사르트르의 ‘비실재 미학’이 일반 지각이론에 적 용되는 상상력 이론을 예술 작품의 감상에까지 확대 적용하고, ‘상상적인 것’을 ‘비실재’와 동일시함으로써 생긴 오류라고 본다. 뒤프렌의 관점에서 볼 때 “예술은 상상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예술 작품의 의미가 비 실재인 것은 맞더라도 그것이 상상적인 것은 아니다. 미적 대상의 의미는 실재하는 것 속에서, 즉 지각된 감각물 속에서 찾아져야 하며, 이때 상상 력의 역할은 실재에 의해 제공된 영역을 끊임없이 확장하고 거기에 시공 간적인 깊이를 제공함으로써 실재로서의 농도와 견고성을 확보하고 무궁 무진한 총체성을 지닌 하나의 세계로 통합시키는 것이다. 아날로공으로 명명되는 지각된 대상물의 지위에 대한 문제가 사르트르와 뒤프렌 사이의 미학적 입장을 가르는 근본적인 문제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French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I, Young Rae photo

JI, Young Rae
문과대학 (불어불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