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선총독부역사교과서(제1차 조선교육령)’에 보이는 한반도관련기사분석-고대편을 중심으로-An Analysis of Articles on the Korean Peninsula Revealed from the History Textbook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First Joseon Educational Ordinance) -Focused on Ancient Times Part-

Other Titles
An Analysis of Articles on the Korean Peninsula Revealed from the History Textbook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First Joseon Educational Ordinance) -Focused on Ancient Times Part-
Authors
송완범
Issue Date
2018
Publisher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Keywords
개화기; 조선교육령; 조선총독부; 역사교과서; 고대사; Enlightenment period; Joseon Educational Ordinanc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History textbook; Ancient history
Citation
史叢(사총), no.93, pp.231 - 258
Indexed
KCI
Journal Title
史叢(사총)
Number
93
Start Page
231
End Page
258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1871
DOI
10.16957/sa..93.201802.231
ISSN
1229-4446
Abstract
제1차 조선교육령 시기의 조선총독부교과서에는 한반도의 북쪽은 중국의 속국이고, 한반도 남쪽은 일본의 속국이라는 조선의 자율성을 부정하며 타율성을 강조하는 논리가 숨어 있다. 이는 철저한 단군신화의 부정으로 나타난다. 대두하는 고구려의 영향력으로부터 삼한을 보호해 줄 수 있는 것은 바다 건너 존재했던 또 다른 대국 일본이며 이러한 일본의 힘은 ‘임나일본부’가 실존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일본에 문화를 전달해준 대표적인 사람들은 모두 지나인이라는 것이다. 이는 또 견수사와 견당사를 통해 받아들이게 되는 지나의 문화는 이제 곧 일본의 문화라고 설명한다. 이상의 조선총독부교과서가 내포한 논리는 고대일본이 이전부터 한반도를 보호국화 하고 있었다는 주장을 강제하기 위한 설명에 다름 아니었다. 나아가 한반도의 문화도 본래 지나의 문화였고 한반도의 자체문화란 것은 존재하지 않았다는 식의 조선역사의 주체성 부정이자 자율성 부정의 논리가 밑바탕에 있었다. 이는 현재의 일본교과서의 원형논리였다는 점에서 간과할 수 없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는 매우 현재적 연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Korea University Global Institute for Japanese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Whan bhum photo

Song, Whan bhum
문과대학 (글로벌일본연구원)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