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일본 중세 세토요의 중국도자 모방과 제작기술Emulation of Chinese Ceramics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of Seto Kiln during the Japanese Medieval Period

Other Titles
Emulation of Chinese Ceramics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of Seto Kiln during the Japanese Medieval Period
Authors
방병선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불교미술사학회
Keywords
세토요; 시유도기; 중국도자; 모방; 철유; 고려청자; 사이호; 용천요; 경덕진요; 건요; 분염주; Seto kiln; Glazed earthenware; Chinese ceramics; Imitation; Iron glaze; Koryo celadon; Four eared Jar; Longquan yao; Jingdezhen yao; Jian yao; Coloum for dispersion of flame
Citation
강좌미술사, no.51, pp.215 - 237
Indexed
KCI
Journal Title
강좌미술사
Number
51
Start Page
215
End Page
237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1955
ISSN
1226-6604
Abstract
본 논문은 일본 중세 세토요의 중국도자 모방과 제작기술 고찰을 통해 도자무역과 교류에 따른 수용국의 대상 모델에 대한 복제와 모방, 창신과 그 한계 등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도자문화의 차이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먼저 세토요의 기원과 변천을 간략히 살펴보고 세토요에 보이는중국도자 복제와 모방에 대한 기존 연구를 토대로 모방의 한계와 창신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기술의 차이에 따른 새로운 양식 창출 관련 문제에 관해 검토하고 이를 동시기 고려청자에 보이는 중국도자 모방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중세 세토요에서 중국도자를 모방하여 제작한 기형은 사이호와 매병, 주자, 광구호, 다완과 다호등이며 철유를 사용한 흑갈색 발색 등이 시유도기로 재현되었다. 그러나 기술 전수가 동반되지 않은한계로, 자기 태토 사용과 효율적 가마 축조와 소성 기술, 고화도 환원 유약 제조 등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중국의 용천요 청자와 경덕진 백자 등과 같은 자기는 제작되지 못하였다. 반면 세토요 특유의기종인 狛犬, 인화문과 첩화문 장식과 문양, 분염주를 사용한 독특한 가마 구조 등은 세토요의 개성으로 이후에도 잔존하였다. 결국 동 시기 고려가 동반된 기술전수를 바탕으로 고급 청자와 백자 생산에 성공한 것과 달리 세토요는 도기에 대한 일본 수요층의 전통적인 기호를 바탕으로 내재적 변화를 겪으면서 모방과 창신을 거듭하였지만 자기 생산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Bang, Byung Sun photo

Bang, Byung Sun
고고미술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