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920년대 말 조선총독부 선전영화의 전략-동시대 일본의 ‘지역행진곡’ 유행과 『조선행진곡』(1929)-A Study on the Strategy of Joseon’s Propaganda Film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in the late 1920s : The Contemporary Japanese Trend of ‘Local March Songs’ and Joseon March(1929)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rategy of Joseon’s Propaganda Film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in the late 1920s : The Contemporary Japanese Trend of ‘Local March Songs’ and Joseon March(1929)
Authors
임다함
Issue Date
2018
Publisher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Keywords
조선총독부; 선전영화; 영화 시나리오; 영화 주제가; 대중문화; 미디어믹스; 지역행진곡; 도쿄행진곡; 조선행진곡; 유행가; 고우타; 재조일본인;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progapanda films; film scenario; soundtrack; mass culture; media mix; local march songs; Tokyo March; Joseon March; popular songs; Kouta; the Japanese colonial settler
Citation
서강인문논총, no.51, pp.191 - 226
Indexed
KCI
Journal Title
서강인문논총
Number
51
Start Page
191
End Page
226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2080
DOI
10.37981/hjhrisu.2018.04.51.191
ISSN
1226-8178
Abstract
본 논문은 1920년대 후반에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미쓰나가 시초(光永紫潮)가 쓴 조선총독부의 선전영화 시나리오에 주목한 연구이다. 식민지 조선에 거주했던 일본인들의 영화 활동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1920년대 후반의 민간 영화 제작사가 관여한 선전영화 시나리오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영화 활동이 총독부 선전영화와 어떻게 관련을 맺고 있었는지를 밝혀내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는다. 미쓰나가가 쓴 선전영화 시나리오는 단순히 총독부의 시책을 선전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보다 많은 관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일본 대중문화의 유행을 반영하는 전략을 시도했다. 『도쿄행진곡』으로 비롯된 일본의 ‘지역행진곡’ 대유행은 거의 동시적으로 식민지 조선에도 유입되었고, 식민지 조선에서도 각종 ‘행진곡’이 파생되며 ‘지역행진곡’ 유행이 확산되었다. 미쓰나가는 이러한 일본 내지의 유행을 조선박람회 집객을 위한 총독부의 선전영화 『조선행진곡』에 도입함으로써, 미디어간의 상호 연계를 노린 일종의 미디어믹스 전략을 실천했다고 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Korea University Global Institute for Japanese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