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瑜伽師地論』 點吐口訣의 몇 가지 특징Some Caracteristics of Point-attached Kugyol on Yuquishidilun(瑜伽師地論)

Other Titles
Some Caracteristics of Point-attached Kugyol on Yuquishidilun(瑜伽師地論)
Authors
장경준
Issue Date
2017
Publisher
구결학회
Keywords
瑜伽師地論; 釈読口訣; 訓点; 点吐口訣; 口訣点; 位置変異;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석독구결(釋讀口訣); 훈점(訓點); 점토구결(點吐口訣); 구결점(口訣點); 위치변이(位置變異)
Citation
구결연구, no.38, pp.83 - 108
Indexed
KCI
Journal Title
구결연구
Number
38
Start Page
83
End Page
108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2243
DOI
10.17001/kugyol.2017..38.005
ISSN
1226-6019
Abstract
韓國의 釋讀口訣과 日本의 訓點은 많은 共通點을 지니지만 差異點 또한 적지 않다. 이 글은 釋讀口訣과 訓點의 比較硏究를 위한 基礎作業으로서,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특히 『瑜伽師地論』 點吐口訣에서 보이는 몇 가지 特徵적인 모습을 紹介한 것이다. 2장에서는 口訣點의 位置變異를 다루었다. 口訣點의 基準位置가 變異位置로 實現되는 것을 口訣點의 位置變異라 하는데, 『華嚴經』 點吐口訣이나 訓點 자료에서는 대체로 漢字의 字形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口訣點이나 ヲコト點의 變異位置가 결정된다. 하지만 『瑜伽師地論』에서는 變異位置가 漢字의 字形에 따라 매우 可變的으로 정해진다. 따라서 독자는 漢字에 따라 基準位置가 變異되는 패턴을 알아야 點吐를 올바로 解讀할 수 있게 된다. 3장에서는 位置가 비슷하거나 겹치는 口訣點들의 記入問題를 다루었다. 『瑜伽師地論』에서는 원칙적으로 點吐를 기입할 글자에 이웃한 다른 글자를 빌려서 결과적으로 두 개의 글자에 나누어 記入한 반면 『華嚴經』에서는 어떻게든 한 글자 안에 記入하였다. 이 과정에서 『瑜伽師地論』과 『華嚴經』에 각각 사용된 符號인 指示線과 重複線 모두, 訓點에서는 그와 같은 기능을 하는 符號가 발견되지 않는다. 그 밖에 11~13世紀 點吐口訣에 句讀點이 사용되지 않은 점, 日本所在 8世紀 新羅寫經에서 語順表示 數字나 四聲點이 발견되는 점, 남아 있는 點吐口訣 자료가 대부분 角筆로 記入되어 있는 점, 釋讀口訣의 表記法이 14世紀 이후 繼承되지 못한 점 등도 주목할 만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ang, Kyong jun photo

Chang, Kyong jun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