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고조선 이동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A Critical Review of the Theory of the Relocation of Old Chosŏn (古朝鮮)

Other Titles
A Critical Review of the Theory of the Relocation of Old Chosŏn (古朝鮮)
Authors
박대재
Issue Date
2017
Keywords
Old Chosŏn; the Yan state; Chinbŏn; Maekkuk; Liaodong; Manbŏnhan; Xiandu; Pei River; 고조선(古朝鮮); 연(燕); 진번(眞番); 맥국(貊國); 요동(遼東); 만번한(滿番汗); 험독(險瀆); 패수(沛水)
Citation
동북아역사논총, no.55, pp.15 - 60
Indexed
KCI
Journal Title
동북아역사논총
Number
55
Start Page
15
End Page
60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2311
ISSN
1975-7840
Abstract
최근 학계에서 비교적 많은 공감을 받고 있는 고조선 중심지 이동설은 『위략』 에 보이는 연장(燕將) 진개(秦開)의 요동 진출 기록에 근거하고 있다. 기원전3세기 초 연(燕)의 요동 진출을 계기로 고조선의 중심지가 요동[險瀆]에서 평양[王險城]으로 이동했다고 보는 것이다. 하지만 『위략』에는 연이 침공했던 지역이 고조선의 중심지가 아니라 그 ‘서방(西方)’이었다고 나온다. 연의 침공지역은 『사기』 조선전에는 ‘진번(眞番)·조선(朝鮮)’으로 나오고, 『산해경』에는 한수(漢水) 동북의 ‘맥국(貊國)’으로 보인다. 연이 공격했던 조선의 서방은 바로진번(古眞番), 맥국을 가리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古)진번(眞番)과 맥국의 위치는 서요하(西遼河, 遼水)와 동요하(東遼河, 沛水)가 합류하는 요북(遼北) 지역(鐵嶺 이북)으로 비정되며, 연과 조선의 경계가 된 ‘만번한(滿番汗)’도 동요하유역에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연의 요동 진출은 고조선의 서방 세력을 멸망시켜 고조선 약화에 영향을 미쳤지만, 그 중심지 이동과는 무관하였다고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Dae jae photo

Park, Dae jae
문과대학 (한국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