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高文’ 출신들의 해방 후 시대인식과 진로The Recognition Time and Career Choices of the Imperial Japanese Korean High-Ranking Bureaucrats in the Post Colonial Periods

Other Titles
The Recognition Time and Career Choices of the Imperial Japanese Korean High-Ranking Bureaucrats in the Post Colonial Periods
Authors
정태헌
Issue Date
2017
Publisher
고려사학회
Keywords
참회; ‘고문’ 출신; 기술관료; 고속 승진; 봉건적 충성심; 보수적 가치; Penitence; Ex-High-Ranking Bureaucrats; Technocratic Bureaucrats; Resulting Pro-Japanese Government Officials of Integrity; Rapid Promotion; Feudal Loyalty
Citation
韓國史學報, no.66, pp.229 - 275
Indexed
KCI
Journal Title
韓國史學報
Number
66
Start Page
229
End Page
275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2337
DOI
10.21490/jskh.2017.02.66.229
ISSN
1229-6252
Abstract
해방은 고문 출신들에게 관료로서든, 정치인으로서든, 사업가로서든 입신양명의 욕망을 펼 수 있는 환경을 비로소 제공했다. 일제강점기라면 꿈도 못 꿀 일이었다. 본고는 ‘高文’(일본문관고등시험 합격자) 출신 364명 중 39명의 해방 후 시대인식과 진로선택의 유형화를 시도했다. 해방 당시 ‘학력’이나 ‘행정경험’ 면에서 ‘최고 엘리트’였던 고문 출신들은 반공 선언을 넘어 자유민주주의라는 보수적 가치를 창출하고 지키며 국가를 건설했다는 자긍심과 그 과정에서 축적된 경륜을 드러내지 못했다. 이들 대부분은 해방 후 고속 승진한 ‘기술관료’로서 또는 정치인으로서 편승한 권력에 대한 맹종과 정당화, 민주주의 인식의 부재를 드러내면서 4월 민주화운동의 의의까지 부정했다. 결국 말년에 가장 큰 가치로 남은 것은 고속 승진과 축재의 경험뿐이었다. 1950~60년대에 보수적 가치의 정착을 위해 비판적 교수, 언론인으로서 노력한 소수도 결국 유신체제에 소극적으로 동참하거나 적극적 파수꾼이 되었다. 평화통일정책을 모색한 첫 세대 정치인도 ‘변절자’ 비난 속에 전두환 군사정권에 적극 참여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UNG, TAE HERN photo

JUNG, TAE HERN
문과대학 (한국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