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식민지 조선의 전쟁화와 프로파간다War Paintings in Colonial Korea during the Asia-pacific War

Other Titles
War Paintings in Colonial Korea during the Asia-pacific War
Authors
김용철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일본학회
Keywords
Asia-Pacific War; War Painting; Dankwang-hoe; Choseon misulga-hyuphoe(Association of Artiste in Choseon); propaganda;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전쟁화; 단광회; 조선미술가협회; 프로파간다
Citation
일본학보, no.109, pp.197 - 215
Indexed
KCI
Journal Title
일본학보
Number
109
Start Page
197
End Page
215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2613
ISSN
1225-1453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식민지 조선에서 그려진 전쟁화의 양상을 규명하는 것이다. 재조선일본인과 조선인 두 부류의 화가에 의해 그려진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조선의 전쟁화는 주로 친일미술의 범주에서 논의되어 왔으나 ‘친일미술’에 대한 종개념일 수 있을 뿐 범주가 다르다. 중일전쟁 이후 ‘내선일체’의 구호 아래 황민화정책을 배경으로 제작되고 수용된 전쟁화는 사상전의 프로파간다 매체로 인식되었다. 중일전쟁 발발 이후 전쟁선전을 위한 다양한 미술가단체의 결성과 활동이 있었고 강연회, 좌담회, 전람회 등을 통한 프로파간다가 이루어졌다. 재조선일본인 화가들의 경우 종군하여 전장의 광경을 그리거나 후방의 여성들을 주인공으로 한 장면들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일본 본토의 전쟁화가들과 유사한 측면은 있었지만, 그들에 비해 후진성과 소극적인 태도가 두드러졌다. 야마다 신이치는 식민지 조선에서 주도적으로 전쟁화를 제작한 재조선일본인 화가의 대표적인 예다. 그에 비하면 조선인 화가들은 심형구나 구본웅과 같이 내선일체 구호를 내면화한 일부 화가들을 제외하면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태도로 전쟁화를 제작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Korea University Global Institute for Japanese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