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삼성동토성 위치추정 연구A study of location of Samseongdong Earthen Fortress

Other Titles
A study of location of Samseongdong Earthen Fortress
Authors
이홍종안형기
Issue Date
2016
Publisher
(사)한국문화유산협회
Keywords
삼성동토성; 지리보정; 3D 지형복원; The Aerial photograph analysis; Micro-Landscape Analysis; Samseongdong Earthen Fortress; Geographic Revision; 3D Landscape Reconstruction; 고지형분석; 미지형분석
Citation
야외고고학, no.27, pp.89 - 126
Indexed
KCI
Journal Title
야외고고학
Number
27
Start Page
89
End Page
126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2661
DOI
10.35347/jkfa.2016..27.89
ISSN
1975-8731
Abstract
한성백제기에 축조되었다고 추정되는 삼성동토성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일대에 존재했었다고 전해지나 도시개발로 인한 지형변화로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이에 필자들은 항공사진을 분석하여 과거의 지형을 관찰하는 고지형분석법을 이용하여 삼성동토성의 위치를 파악하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삼성동 토성의 흔적을 1982년도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시개발이 실시되기 이전에 촬영된 1966년도 항공사진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삼성동토성의 흔적이라고 판단되는 성벽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잔존 성벽과 주변 지형을 고려하여 삼성동토성의 예상범위를 추정해 볼 수 있었다. 또한 1966년도 항공사진 이외에 1974·1981·2014년도 항공사진을 비교·분석한 결과 삼성동 일대에서 사라졌다고 전해지던 무동도가 매립된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백제 개로왕대에 축조되었다는 제방의 흔적도 1966년도 항공사진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분석된 고지형분석 결과물과 과거 발행된 종이지형도, 항공사진을 가지고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삼성동 일대의 3D 지형복원을 시도하였다. 1960년대 3D 지형복원도와 현재의 수치지형도로 제작한 3D 지형도를 분석하여 삼성동토성의 잔존범위를 몇 가지 형태로 나누어 추정할 수 있었고 삼성동토성의 예상범위 중 일부 지점은 지형변화가 심하게 일어나지 않아서 추후 삼성동토성 조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그 동안 충적지만을 대상으로 분석이 시도되었던 고지형분석이 산지나 구릉지의 유적연구에서도 활용될 수 있으며, 과거 항공사진 및 지형도를 이용한 3D 지형복원이 가능하여 향후 고고학조사 및 연구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