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國 古代 陪都制의 形成과 類型 - 古代 韓國 都城의 復都制 검토를 위한 예찰 -Origin and types of dual capital system in ancient China - A comparative example to the multiple capital system in ancient Korea -
- Other Titles
- Origin and types of dual capital system in ancient China - A comparative example to the multiple capital system in ancient Korea -
- Authors
- 조윤재
- Issue Date
- 2016
- Publisher
- 중앙문화재연구원
- Keywords
- China; dual capital system; pre-Qin; Sui; Tang; capital; 中國; 陪都制; 先秦; 隋唐; 都城
- Citation
- 중앙고고연구, no.20, pp.106 - 159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중앙고고연구
- Number
- 20
- Start Page
- 106
- End Page
- 159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2680
- DOI
- 10.20292/jcich.2016.20.105
- ISSN
- 2233-6230
- Abstract
- 중국 陪都制(alternate capital system)의 始原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서주 초기 東都인 雒邑을 嚆矢라고 보고 있지만 배도라는 용어의 출현은 唐代부터 확인되고 있다. 그 이후 陪都制는 民國시기의 陪都 重慶(중요거점)을 마지막으로 그 존재가 사라진다. 중국 고대의 각 정권은 정치, 경제, 군사 등 다방면에 걸친 매우 복합적인 배경에 따라 도성제도의 신축적 수용을 취하였다. 특히 先秦(진대 이전)시기에서 隋唐時期까지 배도제의 선택과 수용은 국가 경영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기에 통치자들이 다방면에 걸친 신중한 고려를 하였다는 사실이 문헌기재와 고고자료에서 확인되고 있다. 동아시아에서 비교적 선진적인 도성제도를 운영한 고대 중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배도의 도시·지리적 형성 과정과 그 기능에 대한 정형성을 고찰하였다. 고대 동아시아에서 선진적인 도성제를 운영한 중국은 陪都制라는 독특한 도성체계를 구축하여 정치사회적 복합성과 다양성을 실현하였다. 복수의 도성을 설치하여 중심 도성의 보조적 기능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정치, 경제, 외교적 효용과 신축성을 극대화하였다. 고대 중국 陪都制에 대한 인식의 확장은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고대 동아시아의 復都制를 이해하는 데에도 의미 있는 연동작용을 할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