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과 힐링의 사회적 의미: 종교사회학적 접근Social Meaning of Spirituality and Healing: A Consid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Religion
- Other Titles
- Social Meaning of Spirituality and Healing: A Consid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Religion
- Authors
- 전명수
- Issue Date
- 2015
- Publisher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Keywords
- 영성; 힐링; 기독교 영성; 뉴에이지 영성; 신유; 영성복지; spirituality; healing; Christian spirituality; New Age spirituality; divine healing; spiritual welfare
- Citation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no.64, pp.1 - 34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Number
- 64
- Start Page
- 1
- End Page
- 34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2828
- ISSN
- 1738-1975
- Abstract
- 본 연구는 영성과 힐링의 관계를 종교사회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것으로, 개인의 영성 개발이 그 자신뿐만 아니라 사회문제의 치유에도 기여할 것이라는관점에서 출발하고 있지만 동시에 그 한계와 다양한 과제 역시 심도 있는 논의가 요구된다는 점을 주목한 것이다. 힐링이 최근 각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단어라는 것은 그만큼 현대가 개인이든 사회든 내적 또는 외적 상처로 인해 병들어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이 상처의 치유에서 영성의 존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데, 이러한 치유는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더욱 필요할 것이라는 점에서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영성 치유의 사회복지적 지향에 관심을 둔다. 따라서 이글은 앞으로 보다 정밀한 이론의 확립과 함께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다양한 사례 고찰을 통해 영성복지의 길을 닦는 시론이 될 것이다.
기존 영성의 논의는 크게 기독교적인 것과 뉴에이지적인 입장으로 분류해볼 수 있다. 전자의 대표적인 예로 우드노우는 영성을 개인들이 그들의 삶을 하나님이나 신성, 또는 어떤 다른 개념의 초월적 실재에 관련시키려는 모든 신앙과 활동으로 정의하고, 후자의 예로 힐라스는 영성을 개인들이 그들 자신의 내면에 존재하는 가장 깊은 신성 차원에 일치해서 살도록 돕는 것으로 보면서 몸⋅마음⋅영, 뉴에이지, 대안적 또는 전인적 영성과 같은 집합적인 술어들과 함께사용한다. 우드노우가 제시한 거주형과 구도형 영성 중 구도형은 뉴에이지 영성과 상당히 유사한데, 이것은 기독교의 영성관이 점차 뉴에이지적 특성을 포함하는 변화를 보여주거나 반대로 뉴에이지의 영성 이론이 기독교 영성에 어느정도 빚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기독교의 힐링은 믿음에 기반해서 몸을치유하는 신유(divine healing)이고, 뉴에이지의 힐링은 바디워크를 통해 영성을 강화함으로써 신체의 건강을 추구한다.
문제는 영성과 힐링이 최근 영적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대중문화상품이 되면서 이것이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있다. 치유가 신유든 영성 개발이든인간의 한계를 넘어설 수는 없는 것인데, 치유에 대한 과도한 욕구가 영성 상품의 효능을 과장하면서 신비주의 또는 비술성을 촉진하거나, 기도, 안수, 명상, 바디워크 등의 치유수단이 오히려 폭력과 같은 극단적인 행태로 변질될 위험이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의 경우 개별 클라이언트에게 어떤 유형의 영성적 치유 방식이 가장 적합한지는 앞으로좀 더 다양한 사례 연구가 필요하겠으나, 여기에는 영성기반 간호사들의 전인적 치유활동을 참고해볼만 하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Public Policy > Division of Public Sociology and Korean Unification/Diplomacy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