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古朝鮮의 언어구역과 燕의 동북지역The linguistic area of Old Joseon and the northeastern region of Yuan

Other Titles
The linguistic area of Old Joseon and the northeastern region of Yuan
Authors
박대재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고대학회
Keywords
古朝鮮; 언어구역; 燕; 『方言』; 等語線; 古朝鮮語; 上古中國語; 夫餘; 高句麗; 濊; 沃沮; 三韓; 辰韓; Old Joseon; a linguistic area(a sprachbund); Yuan(燕); Fangyan(方言); isogloss; Old Joseon' s language; Archaic Chinese; Buyeo(夫餘); Goguryeo (高句麗); Ye(濊); Okjeo(沃沮); Samhan(Three Hans; 三韓); Jinhan(辰韓)
Citation
선사와 고대, no.43, pp.5 - 38
Indexed
KCI
Journal Title
선사와 고대
Number
43
Start Page
5
End Page
38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2950
ISSN
1229-0432
Abstract
고대 한국어와 중국어는 언어계통상 알타이어족과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로 서로 구별되었지만, 언어구역상으로는 지리적으로 인접해 상호 영향을 미치는 동일한 한자문화권에 속해 있었다. 고대 한국어와 중국어 사이의 접촉에 의한 언어 변화는 낙랑군 설치 이전 고조선 시기부터 진행되었는데, 양웅(揚雄)의 『방언(方言)』에 의하면 지리적으로 인접한 연(燕)의 동북지역과 조선(朝鮮)·열수(列水, 洌水)지역은 등어선(等語線, isogloss)으로 한 데 묶이는 동일한 언어구역이었다. 기원전 108년 한(漢)의 낙랑군 설치 이전에 고조선 지역에 연(燕)의 동북지역을 과도(過渡)한 상고중국어(上古中國語, 戰國系 方言)가 이미 유입되어 있었다. 부여(夫餘), 고구려(高句麗), 예(濊), 옥저(沃沮) 등 북방 예맥계(濊貊系) 사회의 언어적 공통성은 공통조어(共通祖語)인 고조선어(古朝鮮語)로부터 분화된 계통적 특징이면서 동시에 이들이 고조선의 언어구역에 포함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위만조선 멸망 후 그 유민의 남하에 의해 고조선어는 삼한지역까지 전파되었는데, 고조선에 유입되어 있던 전국계(戰國系) 방언이나 고조선의 토착어가 진한(辰韓)의 언어에서 보이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Dae jae photo

Park, Dae jae
문과대학 (한국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