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910년대의 ‘혁명’ ㅡ 3·1운동 전야의 개념과 용법을 중심으로 ㅡThe Transformation of ‘Revolution’ in 1910s Korea

Other Titles
The Transformation of ‘Revolution’ in 1910s Korea
Authors
권보드래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Keywords
3·1운동; 혁명; 공화; 신해혁명; 러시아혁명; 『매일신보』; 『학지광』; revolution; the 1st World War; Chinese (Xinhai) Revolution; Russian Revolution; Taehan-Maeilshinbo (大韓每日申報); Maeilshinbo (每日申報); Hakchigwang (學之光)
Citation
개념과 소통, no.15, pp.47 - 82
Indexed
KCI
Journal Title
개념과 소통
Number
15
Start Page
47
End Page
82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3016
DOI
10.15797/concom.2015..15.002
ISSN
2005-1492
Abstract
3·1운동을 전후해 이 사건을 ‘혁명’으로 인식하고 명명하려는 시도는 광범위하게 존재했다. 해외의 독립운동가 사이에는 그 진영을 막론하고 해방기까지 ‘3·1혁명’이라는 단어가 널리 쓰인 바 있다. 이 글에서는 1910년대를 통해 ‘혁명’이 어떻게 이해되고 상상되었기에 그런 명명법이 가능했는지를 밝혀 보고자 했다. 한자문화권에서 전통적으로 역성(易姓)과 개조(開祖)를 가리켰던 ‘혁명’이 ‘revolution’ 의 번역어로서 통용되기 시작한 것은 1890년대의 일이다. 각국 근세사를 소개하는 과정에서 수용된 ‘혁명’이라는 단어는 그러나 1899∼1905년의 언론 통제를 통해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가, 1905∼1910년에는 극히 제한된 범위 내에서 유통된바 있다. 후자의 시기에는 정체(政體) 변혁이 아니라 국가의 유지 자체가 급선무로 제시된 까닭이다. 1910년 식민화 이후에도 언론 공간이 압살되다시피 한 상황속에서 ‘혁명’이 온전히 발음되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이 시기는 1911년 중국 신해혁명, 1917년 러시아혁명과 1918년 독일혁명 등 세계적으로 혁명이 잇따른 시기였으며, 그렇듯 거대한 사건은 식민지 조선에도 전달되지 않을 수 없었다. 『매일신보』 등 관제 언론에서도 국제적 격변을 보도했고, 한반도 외부에서는 보다자유롭게 ‘혁명’이 토론되었다. 일본과 중국에서 다른 아시아 국가 운동가들과의교류가 활발하게 실험되기도 했다. 도쿄 유학생들의 잡지였던 『학지광』은 그 자취가 가장 뚜렷하게 드러나 있는 매체로서, 이 글에서는 『학지광』을 중심으로하여 1910년대의 ‘혁명’ 개념이 정치적 당대성과 자유주의적 포괄성 등을 축으로재조형되었음을 살펴보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won, Bo due rae photo

Kwon, Bo due rae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