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소떼방북, ‘21세기 한반도’ 대전환의 문을 연 메가이벤트Visiting North Korea with Cattle: A Mega Event of Great Transformation in the Relationship of the Two Koreas in the 21st Century
- Other Titles
- Visiting North Korea with Cattle: A Mega Event of Great Transformation in the Relationship of the Two Koreas in the 21st Century
- Authors
- 정태헌
- Issue Date
- 2015
- Keywords
- 남북경협; 북방경제권; 경제공동체; 안보리스크; 소떼방북; 금강산관광; 개성공단;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Northern Economic Zone; economic community; security risks; visit to North Korea with cattle; Mount Geumgang tours; Geaseong Industrial Complex
- Citation
- 역사비평, no.112, pp.302 - 325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역사비평
- Number
- 112
- Start Page
- 302
- End Page
- 325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3076
- ISSN
- 1227-3627
- Abstract
- 정주영은 1989년 1월, 자유기업론자로서 적극적으로 ‘북한 열기’를 시도한 첫 방북 이래 10년 후 1998년 6월 16일, ‘세기의 목동’이 되어 소떼 500마리를 끌고 판문점을 넘었다.
그는 1970년대 말~1980년대 초에 국내외 환경 변화를 활용하여 공산권 경협을 공론화한 이후 2001년 세상을 뜰 때까지 20여 년간 남북경협-북방경제권을 연동한 길을 뚫고자 일로매진했다. 기업의 실리와 민족사적 명분을 조화시킨 큰 셈법이었다. 그러나 정작 경협이 추진될 무렵 한국경제는 IMF 관리체제 하에 놓였다. 미국은 대북제재까지 가했다. 이 때문에 소떼방북 시 합의한 경협사업 중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만 실현되었다.
남북경협은 세계경제 위기, 남북관계를 정쟁에 활용한 정치권과 보수세력의 근시안, 미국의 대북제재, 현대그룹의 봉건적 경영구조 등 여러 요인이 얽혀 크게 흔들리고 있다. 이 모든 문제를 조율하면서 남북경협을 정상궤도에 올려야 할 최종 책임과 권한은 기업에 있지 않다. 정부, 특히 헌법에 따라 “조국의 평화통일에 대해 책임을 지는” ‘선구적’ 대통령의 몫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