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20세기 초 구어 연구를 위한 문어 텍스트의 활용 문제Utilization of written texts for studies of spoken Korean in the early 20th Century

Other Titles
Utilization of written texts for studies of spoken Korean in the early 20th Century
Authors
장혜진신우봉유혜원홍종선
Issue Date
2014
Publisher
민족어문학회
Keywords
spoken language; Korean in the early 20th Century; written texts; cartoons in a newspaper; conference transcripts; spoken language properties; 구어; 20세기 초기 국어; 문어 텍스트; 신문 만화; 집담회 자료; 구어적 특성
Citation
어문논집, no.71, pp.325 - 351
Indexed
KCI
Journal Title
어문논집
Number
71
Start Page
325
End Page
351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3339
ISSN
1226-6388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초기의 구어 연구를 위해 문어 텍스트 가운데 구어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먼저 선행 연구의 구어와 문어, 구어체와 문어체의 개념과 범위 등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구어와 문어가 매체적 차이로 이해되지만 텍스트로 존재하는 자료 가운데 일부가 구어 연구의 보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구어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문어 텍스트 자료의 종류와 수,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만화와 집담회는 텍스트 내의 상황이 구어를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구어적 속성을 고찰하는 자료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음을 살펴보았다. 만화는 대체로 비격식적 대화 상황을 가정하고 있는 반면, 집담회는 격식적 대화의 성격을 띠고 있어서, 이 두 자료를 검토하면 격식적 구어 표현과 비격식적 구어 표현 모두를 관찰할 수 있다. 신문 만화와 집담회 자료를 대상으로 의문법의 실현, 축약 및 생략 표현, 다양한 종결 어미와 부정 표현의 특성 등을 검토해 본 결과, 후기 근대국어에서 현대국어로 넘어 오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구어적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이 연구에서 제시한 텍스트 자료와 현전하는 음성 자료와의 비교 대조 연구를 통해, 20세기 현대국어 구어의 형성 및 변천 과정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