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미래로의 도약, 3·1 운동 속 직접성의 형식Leap to the Future -Three Levels of the Immediate in the March 1st Movement-

Other Titles
Leap to the Future -Three Levels of the Immediate in the March 1st Movement-
Authors
권보드래
Issue Date
2014
Publisher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Keywords
3․1 운동; 직접성; 제 1차 세계대전; 선언; 유토피아; 대표; 상응; 비근대; the March 1st Movement; World WarⅠ; declaration; utopia; representative; correspondence; unmodern
Citation
한국학연구, no.33, pp.51 - 78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학연구
Number
33
Start Page
51
End Page
78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3418
ISSN
1225-469X
Abstract
이 논문은 1919년의 3․1 운동을 세 가지 직접성의 형식이라는 측면에서 조명해 보고자 한다. 세 가지 직접성의 형식이란 첫째, 언어와 현실 사이의 직접성, 둘째, 현재와 미래 사이의 직접성, 셋째, 인민과 대표 사이의 직접성을 뜻한다. 3․1 운동이 제 1차 세계대전 직후의 세계정세, 특히 민족자결주의에 의해 크게 영향 받았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이 논문에서는 그 관련의 양상을 ‘직접성’이란 개념을 통해 시도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3․1 운동은 민족의 독립에 대한 선언이 곧 독립이라는 현실을 불러오리라고 믿은 언어-현실 사이 독특한 관념에 의해 고무되었고, 유토피아적 미래가 임박해 있다는 시간감각과 더불어 발전했으며, 종래의 법률적 대표 대신 자유․평등․정의의 개념에 입각한 새로운 대표의 구성이 필요하다는 전 세계적 감각을 공유한 속에서 전개되었다. 이 직접성의 형식이 당시 국제 정세와 맺은 관계는 ‘상응(corréspondence)’이라고 불러야 할 종류의 것으로, 위 혹은 외부로부터 받은 수동적 영향과 대별된다. 유럽이 근대의 과잉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기 시작한 당시, 한국은 근대와 갈등하기 시작한 비근대(unmodern)의 사회로서 유럽에서 경험하고 있던 ‘비결정’의 상황에 공명했다. 비록 제 1차 대전 이후 세계질서 재구성의 노력이 실패로 돌아갔고 3․1 운동 당시 민중적 기대의 대부분이 무산되기는 했지만, 과감한 직접성의 형식을 통해 기성 질서에 도전했던 당시의 경험은 지금도 시사하는 바 크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won, Bo due rae photo

Kwon, Bo due rae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