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명률직해』의 정본 확정을 위한 기초 연구 (1) -고려대 도서관과 서울대 규장각 소장본을 중심으로-A Fundamental Study on Daemyeongryul-Jikhae Focused on Recension of Texts (1)

Other Titles
A Fundamental Study on Daemyeongryul-Jikhae Focused on Recension of Texts (1)
Authors
장경준진윤정허인영
Issue Date
2013
Publisher
국어사학회
Keywords
The Great Ming Code(大明律); Daemyeongryul-Jikhae(大明 律直解); different versions(異本); recension(對校); a standard text(定本); 대명률(大明律); 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 이본(異本); 대교(對校); 정본(定本)
Citation
국어사연구, no.16, pp.127 - 172
Indexed
KCI
Journal Title
국어사연구
Number
16
Start Page
127
End Page
172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3621
ISSN
1738-477X
Abstract
『대명률직해』는 명나라 법전인 대명률을 조선의 실정에 맞게 이두로 번역한 것이다. 원간본은 1395년에 간행되었으나 현재는 16세기 이후의 중간본으로 추정되는 이본들만 20여 종이 남아 있다. 따라서 현전하는 이본들의 계통을 파악하고, 각 계통을 대표하는 이본을 선정하여 텍스트의 대교 및 교감 작업을 거쳐 정본(定本)을 확정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그 첫 단계로서 고려대 도서관과 서울대 규장각에 소장된 9종의 이본들을 대상으로 형태서지와 내용서지를 조사, 기술하고 계통 관계를 검토해 본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 이본들의 형태서지적 특징을 살펴 선행연구에서 미처 언급하지 않았거나 잘못 기술한 일부 세부사항을 확인하고 바로잡았다. 그리고 조사 대상 이본들의 계통 파악을 위해 텍스트의 대교 및 교감 작업을 일부 수행하였으며, 결론적으로 다음과 같은 판단에 이르렀다. 지금까지 국내에 전하는 『대명률직해』의 이본은 크게 만송문고본 계통과 평양간본 계통으로 분류해 왔다. 그런데 만송문고본 계통은 다시 만송문고A본 계통과 홍문관본 계통으로 세분할 가능성이 있으며, 기존에 평양간본 계통으로 분류되었던 만송문고B본과 새로 발견한 고려대본은 형태와 내용 양 측면에서 홍문관본과 평양간본의 중간에 위치하는 별도의 계통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판단은 물론 잠정적인 것이며, 최종 결론은 다른 이본들을 충분히 조사 검토한 이후에 내릴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ang, Kyong jun photo

Chang, Kyong jun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