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식민지의 농촌 청년과 재일조선인 사회 - 경남 함안군 周씨의 일기(1933년) 검토 -Colonial Farm Youth and the Socie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 review of the diary of Joo from Haman, Kyeongnam (1933)

Other Titles
Colonial Farm Youth and the Socie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 review of the diary of Joo from Haman, Kyeongnam (1933)
Authors
정병욱
Issue Date
2013
Publisher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Keywords
farm youth; diary; unemployment; visiting Japan; the socie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urban lower class; transnational daily life space; 농촌 청년; 일기; 실업; 도항; 재일조선인사회; 도시하층민; 국경에 걸친 생활권
Citation
민족문화연구, no.58, pp.709 - 749
Indexed
KCI
Journal Title
민족문화연구
Number
58
Start Page
709
End Page
749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3669
ISSN
1229-7925
Abstract
경상남도 함안군의 농촌 청년 周氏의 1933년 일기는 두 가지 점에서 주목된다. 하나는 기존 일기 연구에 나오는 고학력 농촌 청년은 실업과 답답한 농촌의 일상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조선총독부의 말단 통치요원이 되었던 반면에, 주씨는 탈출구로서 일본으로의 渡航을 택했다. 다른 하나는 기존의 재일조선인 사회에 대한 구술·회고나 연구가 주로 정주한 조선인이 중심이라면, 주씨는 구직에 실패하고 다시 귀향했던 자이다. 그의 일기에는 주변인의 시선에 포착된 재일조선인 사회가 담겨 있다. 주씨의 사례는 일제시기 경상남도와 일본 사이에 형성된 ‘국경에 걸친 생활권’의 좋은 예이다. 그의 도항, 체류 및 귀향은 재일조선인 사회의 동향인(同鄕人) 네트워크 없이는 불가능하였다. 주씨의 눈에 비친 재일조선인 사회의 일상과 문화는 민족성과 함께 근대성, 계급성이 겹쳐져 있었다. 재일조선인 사회는 민족적 결합이면서 무엇보다 도시하층민의 세계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ssociate Research Center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