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고려속요의 구음과 ‘라리련’・‘라리라’의 관련 양상The Relation Aspects of the Sounds of Goryeo Folk Songs and 'Rariryun' ․'Rarira'

Other Titles
The Relation Aspects of the Sounds of Goryeo Folk Songs and 'Rariryun' ․'Rarira'
Authors
전경욱
Issue Date
2013
Publisher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Keywords
rariryun; roryuroru; Goryeo folk songs which originate from shaman songs; a Buddhist mantra; The nine celestial bodies; Gunmadaewang; Byuldaewang; 라리련; 로류로루; 무가 계 고려속요; 구음; 진언; 구천; 군마대왕; 별대왕
Citation
민족문화연구, no.60, pp.257 - 284
Indexed
KCI
Journal Title
민족문화연구
Number
60
Start Page
257
End Page
284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3727
ISSN
1229-7925
Abstract
무가 계통 고려속요는 순수한 무가라기보다는 무속과 불교가 절충된 형태의 무가로 간주된다. 그래서 무가 계통 고려속요에 나오는 구음들은 불교의 진언일 가능성도 있는데, 이때 주목되는 것이 불교 구음 ‘라리련(囉哩嗹)’과 범곡(梵曲) 「라리라(羅犁羅)」이다. 중국에서는 ‘라리련’이 ‘리련라(哩嗹囉)’, ‘라라련(囉囉嗹)’, ‘라련라(囉嗹囉)’, ‘련라련(嗹囉嗹)’, ‘리라련(哩囉嗹)’ ‘로련나’ ‘랄리(剌哩)’ ‘라리(囉哩)’ ‘라라리(囉囉哩)’ ‘나라리(那羅離)’ ‘라리리(囉哩哩)’ ‘리라리(哩囉哩)’ ‘라리라(囉哩囉)’ ‘라리라(羅犁羅)’ ‘리라릉(哩囉㖫)’ ‘야리리’ ‘야리라’ ‘야리라리’ ‘아리리’ 등으로 변이되어 나타난다. ‘라리련’의 범문(梵文) 로류로루(魯流盧樓)는 불(佛), 법(法,) 승(僧)과 대법(對法)의 뜻이 있다. 그래서 당나라 사람들이 불교찬가를 지을 때, 이 네 글자를 사용하여 화음으로 삼았다. 당나라 때 「열반경 실담장」 중의 로류로루 네 글자를 화음으로 삼았지만, 후세에 점차 아주 복잡한 변화가 일어났다. 범곡 「라리라」는 늦어도 진(晋)나라 때 중국에 들어온 서역 악곡이다. 「구천」의 로리런은 바로 라리련(囉哩嗹)이다. 리런나는 라리련의 변화형인 리련라(哩嗹囉), 로런라는 라리련의 변화형인 라련라(囉嗹囉)와 그대로 일치한다. 「군마대왕」의 로리(라리), 로라리(라라리)는 ‘라리련’과 ‘라리라’에서 파생된 것이고, 다른 구절들도 러리러→라리라, 러리로→라리라 등 ‘라리련’과 ‘라리라’의 변이형으로 볼 수 있다. 「별대왕」의 노런나는 라련라, 로런나도 라련라, 리런나는 리련라로서 라리련의 변화형이다. 그리고 리라리, 니리(리리), 나리나(라리라)도 ‘라리련’과 ‘라리라’에서 파생된 것이다. 「나례가」의 ‘리라리러’의 ‘리라리’, ‘나리라(라리라)’, ‘리라리’도 ‘라리련’과 ‘라리라’에서 파생된 것이다. 중국에서 라리련이 원래 불교의 구음으로 출발하여 도교․무속 등에서도 사용되었듯이, 고려에서도 불교 승려와 도교의 도사들이 ‘라리련’과 ‘라리라’를 노래했고, 이것이 무당들에 의해 무가에 수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무가계 고려속요인 「구천」 「군마대왕」 「별대왕」 「나례가」 등에서 ‘라리련’과 ‘라리라’ 관련 구음들이 발견되는 것이다. 고려속요 「청산별곡」과 「대국1」 - 「대국3」에 삽입된 구음 ‘얄리’ ‘얄라리’ ‘얄라성’은 현전 민요 「아리랑」과 「아라리」에서 ‘아리’ ‘아라리’ ‘아라성’으로 나타난다. 아리, 아라리, 얄리, 얄라리는 불교의 구음 ‘라리련’․‘라리라’와 거기서 파생된 ‘라리’, ‘라리리’, ‘리라리’, ‘라라리’, ‘라리라’, ‘나라리’와 친연성을 갖고 있다. 결국 아리, 아라리, 얄리, 얄라리는 「구천」 「군마대왕」 「별대왕」 「나례가」에 나오는 ‘로리(라리)’ ‘로라리(라라리)’ ‘리라리’ ‘나리나(라리라)’ ‘나리라(라리라)’, ‘로리런(라리련)’ ‘리런나(리련라)’ 등의 구음과도 동일 계통이다. ‘라리련’과 ‘라리라’ 관련 구음들은 고려속요뿐만 아니라, 후대의 민요, 꼭두각시놀이, 진언 등에서도 계속 전승되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eon, Kyung Wook photo

Jeon, Kyung Wook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