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상섭과 ‘조선문인회’Yeom Sang-seob and ‘Chosun Literary Society(Chosun Mooninhoe)’
- Other Titles
- Yeom Sang-seob and ‘Chosun Literary Society(Chosun Mooninhoe)’
- Authors
- 박헌호
- Issue Date
- 2012
- Publisher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Keywords
- 염상섭; 조선문인회; 아나키즘; 노동; 계급; Yeom Sang-seob; Chosun Literary Society; anarchism; labor; class
- Citation
- 한국문학연구, no.43, pp.235 - 259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문학연구
- Number
- 43
- Start Page
- 235
- End Page
- 259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3917
- DOI
- 10.20881/skl.2012..43.007
- ISSN
- 1229-4373
- Abstract
- <조선문인회>는 염상섭, 황석우 등이 주도했던 문인단체로 지금까지는 그 족적이 별로 주목받지 못했다. 이 글은 <조선문인회>를 염상섭의 아나키즘적 문학관의 실천적 발현으로 고찰함으로써, 염상섭 문학의 사상적 위상을 재고하려는 의도로 작성됐다. 이를 위해 이 단체를 주도한 황석우와 염상섭의 사상을 살펴봤고, 이를 통해 근대사상의 핵심으로 ‘자아주의’를 내건 염상섭의 사상이 당대의 식민지 자본주의적 상황과 이를 돌파하기 위한 사회주의와 어떠한 상호작용을 가졌는지를 돌아보았다. 특히 염상섭의 노동관을 분석하여, 그의 예술관이 노동관과 밀접한 연관을 가진 것이며, 이러한 노동관의 연장 속에서 <조선문인회>의 결성취지를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 결과 자본주의 사회에서 촉발됐던 여러 사회운동을 ‘인간의식’의 각성과 ‘자유’에의 옹호라는 관점에서 수용하고자 하였으며, 사회주의에 의해서 촉진됐던 계급운동 또한 그러한 맥락에서 옹호하고자 하였던 염상섭 등의 조선문인회가 누구도 기억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유산되었음을 밝혔다. 그것은 『폐허』파의 끄트머리로 기억되거나, 문단권력에 대한 염상섭의 야심으로 평가되거나, 원고료 따위를 말하던 이익집단으로 치부되었다. 그러한 방식을 통해 한국 근대문학사는 이념적 이분법으로 선명해질 수 있었는지 모르지만, 그런 만큼 ‘자아’를 중심에 두고 자본과 노동을 포괄하고자 했던 제3의 길은 자신의 사상적 좌표를 박탈당하고 오늘도 문학사의 책갈피 속에서 서성이고 있다. 염상섭은 우리에게 자신의 문학사적 좌표가 어디인지를 여전히 질문하고 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Associate Research Center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