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단성 호적 인명에 관한 사회 언어학적 고찰A Social―linguistic Study on Names of Dan―seong Family Register

Other Titles
A Social―linguistic Study on Names of Dan―seong Family Register
Authors
차재은권내현
Issue Date
2011
Publisher
한민족문화학회
Keywords
Dan―seong family register; male slave; female slave; commoner; native word; Sino―Korean word; loanblend; family name and origin.; 단성 호적; 남노(男奴); 여비(女婢); 평민; 고유어; 한자어; 혼종어(混種語); 성관(姓貫)
Citation
한민족문화연구, no.36, pp.123 - 149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민족문화연구
Number
36
Start Page
123
End Page
149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4289
DOI
10.17329/kcbook.2011..36.005
ISSN
1598-9836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단성 호적 전산 자료에 보이는 인명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을 하였다. 먼저 단성 호적 전산 자료에 나타난 남노(男奴) 명 대 여비(女婢) 명의 성별 특징을 알아보고 다음으로는 역사적 관점에서 평민 남성 대 노비 남성 인명의 특징을 계층별로 비교해 보았다. 남녀 노비명을 분석한 결과, 고유어와 한자어 어근 모두에서 남노명의 유형 빈도가 여비명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남노의 이름을 더 다양하게 지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유어계 남노명과 여비명의 어근에는 ‘단산 기원, 동물, 외모’와 같은 의미 부류가 공통적으로 관찰되었며 남노명에는 ‘암석, 더부살이’가, 여비명에서는 ‘도구, 익명성’이 많이 나타났다. 한자 어근의 경우 남노명과 여비명 모두 ‘順’이 쓰인 점이 공통적이고 남노명에는 ‘命, 貴, 福’이 많이 쓰인 반면, 여비명에는 ‘일월, 이월’ 등의 달 이름이나 ‘玉, 月, 春’ 등 여성적 속성과 관련된 것이 많았다. 평민 남성과 노비 남성의 인명을 분석해 보니 노비보다 평민층에서 고유어 인명 사용의 비율은 낮은 반면 한자어 사용 비율은 높게 나타났다. 노비층의 고유어 인명 비율은 시간이 흘러도 감소하지 않는데, 이는 노비수가 전체적으로 급속하게 줄어들면서 평민층으로 흡수된 노비들이 한자어로 인명을 전환해 나갔기 때문이다. 노비 가운데 유성관층(有姓貫層)이 무성관층(無姓貫層)에 비해 고유어 인명 사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은 노비들이 사회적 지위를 향상 시킬 때 성관의 획득을 한자 인명의 사용보다 더 중시했기 때문이다. 무성관 노비는 유성관 노비를 거쳐 평민으로 신분 상승을 하면서 한자어 인명 사용을 확대해 나갔다. 평민 가운데에는 사회적 지위가 높은 상층에서 고유어 인명 비율이 월등하게 낮아 그들의 양반 지향 의식을 인명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History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won, Nae Hyun photo

Kwon, Nae Hyun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