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발명자권)의 위상 검토와 제언Title : Analysis and proposal for ‘Inventor’s right to be patented’ provisions in Korean Patent Act

Other Titles
Title : Analysis and proposal for ‘Inventor’s right to be patented’ provisions in Korean Patent Act
Authors
조영선
Issue Date
2011
Publisher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Keywords
특허; 발명자; 영업비밀; 출원; 공개; 질권; 공시; 강제집행; patent; inventor; trade secret; application; disclosure; mortgage; public announcement; execution
Citation
고려법학, no.63, pp.73 - 113
Indexed
KCI
Journal Title
고려법학
Number
63
Start Page
73
End Page
113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4371
ISSN
1598-1584
Abstract
발명이 성립한 이후 출원을 거쳐 특허등록을 받기까지의 법적 실체인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는 현실에서의 활용도 등에 비추어 특허권에 못지않은 중요성을 가진다. 우리 특허법은 특허를 받을 권리의 법적 성질에 대하여 아무런 선언적 규정을 두지 않고 있으며, 종래 위 권리는 국가를 상대로 특허의 부여를 청구할 수 있는 절차적 권리임은 물론, 당연히 사적 재산권으로서의 성격도 가지는 것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그러나 특허법 규정들을 분석해 보면 적어도 우리 특허법은 특허를 받을 권리에 ‘특허의 부여를 청구할 수 있는 절차권’으로서의 성격 외에 사적 재산권으로서의 성격까지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는 이해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는 영업비밀보호법의 틀에서 해결방법을 찾는 것으로 충분하며 오히려 더 효과적이다. 이 점에서 실정법의 태도를 무시하고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에 막연히 재산권적 성질을 전제하는 것은 법 정합적 해석론이나 적절한 입법론 수립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한편, 우리나라를 제외한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사적 재산권임을 명확히 하고 관련된 공시수단을 확보함으로써, 양도, 담보제공, 실시권 설정 등 특허등록 이전(以前)에 발명을 활용할 수 있는 제도보장을 하고 있다. 일본 또한 최근의 특허법 개정을 통해 모인출원에 관하여 특허등록 명의이전에 의한 정당한 권리자 보호를 인정하는 등 이러한 비교법적 추세를 수용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향후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의 적절한 보호를 위해 영업비밀보호법 상 구제수단을 적절히 활용하는 한편, 그 사적 재산권으로서의 성질을 분명히 선언하고, 공시제도 마련, 질권설정 금지 철폐 등 입법적 개선을 통해 발명의 조기 활용을 뒷받침할 필요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un, Cho Young photo

Sun, Cho Young
School of Law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