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EQ‐5D로 측정된 소득 계층별 건강집중지수의 분해Decomposition of the Health Concentration Index by Health Dimensions Applied on EQ‐5D

Other Titles
Decomposition of the Health Concentration Index by Health Dimensions Applied on EQ‐5D
Authors
이준협윤병준정형선
Issue Date
2009
Publisher
한국보건사회학회
Keywords
집중지수; 건강불평등; EQ-5D; 건강 영역; 삶의 질; Concentration Index; Health Inequality; EQ-5D; Health Dimension; QOL
Citation
보건과 사회과학, no.26, pp.67 - 87
Indexed
KCI
Journal Title
보건과 사회과학
Number
26
Start Page
67
End Page
87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4746
ISSN
1229-1633
Abstract
집중지수는 소득계층별 건강불평등을 측정하는 지표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는 종합지표인 EQ-5D를 이용한 소득계층별 건강불평등을 측정하고, EQ-5D의 6개 건강영역별(기능악화 영역 포함)로 건강불평등에의 기여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자료는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의 EQ-5D 자료와 EQ-5D를 이용한 243개 건강상태에 대한 건강가치 추계 자료(강은정 등, 2006)이며, 연구 대상자는 19세 이상의 성인 24,169명이다. 소득계층별 건강집중지수의 크기는 0.035이었다. 이는 건강이 고소득층에 집중되어 있음을 의 미한다. EQ-5D의 6개 건강영역별 집중지수의 크기는 0.0106(기능악화 영역)에서 0.0014(운동능력)까지 건강영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이는 EQ-5D의 6개 개별 건강영역이 소득계층별 전체 건강 불평등에의 기여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EQ-5D의 개별 건강영역별 건강불평등에의 기여 도를 보았을 때, 기능악화 영역(30.3%)과 통증/불편감(29.8%)의 기여도가 가장 컸으며, 그 다음 으로 불안/우울 17.2%, 일상활동이 14.4%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운동능력과 자 기관리의 건강불평등 기여도는 각각 3.9%, 4.4%에 지나지 않았다. 소득계층별 건강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정책 시행시 개별 건강영역별 건강불평등의 기여 정도가 다르다는 점이 고려되어, 건강불평등이 큰 건강영역 중심으로 건강불평등 해소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ealth Sciences > Division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JUN HYUP photo

LEE, JUN HYUP
보건과학대학 (보건정책관리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