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7세기 중국 무역도자 연구 - 유럽과 동남아를 중심으로Chinese Trade Ceramics for Europe and Southeast Asia Market in the 17th century

Other Titles
Chinese Trade Ceramics for Europe and Southeast Asia Market in the 17th century
Authors
방병선
Issue Date
2009
Publisher
한국불교미술사학회
Citation
강좌미술사, no.33, pp.195 - 225
Indexed
KCI
Journal Title
강좌미술사
Number
33
Start Page
195
End Page
225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4785
ISSN
1226-6604
Abstract
이 논문은 17세기 유럽과 동남아 수출 중국 무역도자 연구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를 위 해 먼저 명대 이후 중국 무역도자의 배경과 전개를 간단히 살펴보고 17세기 무역도자의 생산과 무역의 주체, 무역도자 양상의 변천 과정을 고찰하였다. 무역도자의 생산은 경덕진 주변의 민 요와 복건성의 가마들이 주요한 역할을 하였고, 유럽과 동남아까지의 그릇 운송과 무역의 주관 은 네델란드 동인도회사가 그 역할을 하였음을 기존의 연구와 최근 발견된 침몰선 관련 자료를 통해 검토하였다. 다음 무역도자의 양식은 17세기 전반 유럽의 정물화에 나타난 청화백자, 유럽과 동남아 해 상 무역로 상의 침몰선 속에서 인양된 청화백자, 복건성 장주요 출토 청화백자와 오채자기 등을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무역 자기는 유럽 수요층들을 위해 제작된 klapmut와 커피포 트 같은 유럽 수출용 그릇, 접시와 완, 발과 같은 전통적인 중국 그릇과, 중국 전통 그릇에 수요 층의 요구에 따른 유럽의 문장(紋章)이나 글을 써 넣은 것 등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연부를 구획 하고 연지수금이나 각종 당초문과 산수문, 길상문등을 독립적으로 배치한 크락 양식, 윤곽선 없 이 다양한 문양들을 간략히 시문한 명말청초 양식, 보다 정제되고 회화적인 청대 강희 양식과 독특한 장주요 양식 등이 17세기 중국 무역도자의 주요 양식임을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Bang, Byung Sun photo

Bang, Byung Sun
고고미술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