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직업 위세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분석 : 직업 위세의 객관적‧감정적 의미A Social Psychological Analysis of the Occupational Prestige Objective and Affective Meaning of the Occupational Prestige

Other Titles
A Social Psychological Analysis of the Occupational Prestige Objective and Affective Meaning of the Occupational Prestige
Authors
최유정이명진최샛별
Issue Date
2008
Publisher
비판사회학회
Keywords
직업; 직업 위세; 계층; 사회정체성; 감정조절이론; ACT; EPA
Citation
경제와 사회, no.78, pp.133 - 162
Indexed
KCI
Journal Title
경제와 사회
Number
78
Start Page
133
End Page
162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4958
ISSN
1227-1373
Abstract
이 글은 교육이나 소득 같은 객관적 요소로 설명되어온 ‘직업’을 사회정체성의 핵심으로 보고, 객관적 요소는 물론 감정적 요소와의 총체적인 연관 속에서 직업 위세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직업 위세 점수를 종속변수로, 객관화된 지표인 직업별 교육수준, 평균임금, 직업의 감정적 의미에 대한 평가점수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분석을 시도했다. 회귀분석에서 유의미한 설명변수로 드러난 교육과 평균임금, 감정적 요소인 ‘편한/어려운’, ‘권력 있는/권력 없는’을 포함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변인 간 관계를 규명한 결과, 평균임금과 교육은 직업 위세에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모두 가지며, 직업의 감정적 요소를 통한 간접효과가 직접효과보다 오히려 더 컸다. 특히 평균임금은 ‘편한/어려운’보다 ‘권력 있는/권력 없는’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눈에 띄게 더 크고, 교육의 경우는 그 차이가 평균임금만큼은 아니지만 역시 ‘권력 있는/권력 없는’을 통한 영향이 좀 더 강하다. 전체 효과 면에서는 중요한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권력 있는/권력 없는’이 직업 위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고, 해당 직업의 교육수준과 평균임금은 직업의 권력에 대한 판단에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침으로써 간접적으로 직업 위세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직성 같은 도덕적인 기대나 활동성에 대한 평가의 효과는 증명되지 못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Soc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Myoung Jin photo

Lee, Myoung Jin
문과대학 (사회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