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韓地域 高句麗 土器의 編年 硏究The Chronology of Koguryo Pottery from South Korea
- Other Titles
- The Chronology of Koguryo Pottery from South Korea
- Authors
- 최종택
- Issue Date
- 2006
- Publisher
- 한국고대학회
- Keywords
- South Korea. Mt. Acha; Koguryo; Hanseong; Pottery; Chronology; Gyeongja; Long-necked pottery with four ears; Ball shaped pot; Steamer; 남한; 아차산; 고구려; 한성; 토기; 편년; 경자년; 사이장경옹; 구형호; 시루; South Korea. Mt. Acha; Koguryo; Hanseong; Pottery; Chronology; Gyeongja; Long-necked pottery with four ears; Ball shaped pot; Steamer
- Citation
- 선사와 고대, no.24, pp.283 - 299
- Indexed
- KCI
OTHER
- Journal Title
- 선사와 고대
- Number
- 24
- Start Page
- 283
- End Page
- 299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5001
- ISSN
- 1229-0432
- Abstract
- 최근 남한지역 고구려 토기의 편년연구는 중국이나 북한지역에 비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환인이나 집안지역의 이른 시기의 고구려 토기에 대한 편년이 자세하지 못한 점은 남한지역 토기의 편년에 있어서 기본적인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한강유역 출토 토기의 편년에 대해서는 상당한 진전이 있었는데, 이하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남한지역에서 출토된 고구려 토기의 편년문제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았다.분석결과 남한지역 고구려 토기 제작기법상의 특징과 변천양상, 기종별 변천양상, 유적별 연대 등에 대한 비교적 상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남한지역 고구려 토기와 관련된 몇 개의 절대연대 등을 고려하여 4세기 후반에서 6세기 중반에 이르는 시기의 토기에 대한 상대서열을 설정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토기의 편년을 바탕으로 각 유적의 시간적 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었다.이러한 결과는 중국이나 북한지역의 고구려 토기에 대한 연구가 부진한 현 시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즉 남한지역 고구려 토기 자료에 대한 연구 성과를 다른 지역의 고구려 토기 연구에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강유역 출토 자료의 경우 시간 폭이 명확하므로 이를 통해 고구려 토기 전반의 분석이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