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이본의 존재와 고전서사문학사 서술, 고전서사문학 교육Existence of editions and the description of classical narrative literature, classical narrative literature education

Other Titles
Existence of editions and the description of classical narrative literature, classical narrative literature education
Authors
엄태웅
Issue Date
2021
Keywords
cano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classical narrative literature education; critical self-esteem; edition; literature education; 고전문학 교육; 고전서사문학 교육; 문학 교육; 비판적 자기화; 이본; 정전; 판본
Citation
한국연구, no.7, pp.185 - 218
Indexed
KCI
OTHER
Journal Title
한국연구
Number
7
Start Page
185
End Page
218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8083
DOI
10.23073/riks.2021..7.007
ISSN
2671-9827
Abstract
고전서사문학 교육에서 학습자들에게 작품을 어떤 판본으로 소개할 것인가의 문제는 항상 고민거리이다. 한 작품이라 하더라도 판본에 따라 작품의 미감이 적지 않게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이는 미시적으로는 작품에 대한 감상, 거시적으로는 고전서사문학사에 대한 이해에 혼란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고전문학에서 통상적으로 인식하는 ‘작품’의 개념과 현대문학의 ‘작품’ 개념에는 질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현대문학에서 작품이 실체적 개념이라면, 고전문학에서는 작품이 추상적 개념이고, 그 아래 존재하는 판본의 층위가 실체적 개념이다. 실제로 판본의 층위에서 살펴보면, 동일한 작품이라 하더라도 판본에 따라 인물 형상, 사건 전개, 주제 구현 등에서 적지 않은 차이가 발견된다. 이렇듯 판본이 각기 다른 지향을 보이는 경우, 작품의 정체성에 대한 규정을 어떻게 해야 할지 난감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 고전서사문학사 서술의 측면에서는, 첫째, 한반도를 단일한 공간으로 인식하는 것을 지양하고 각 지역의 독특한 서사 향유 문화에 대해 접근할 필요가 있고, 둘째, 작품이 아닌 판본을 기반으로 하여 작품 및 장르의 성격을 규정하는 아래로부터의 직조 방식이 필요하며, 셋째, 정전을 규정할 수 있되 원본․선본으로부터 파생된 다채로운 판본들의 존재들을 두루 포괄하여 流動하는 정전으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 고전서사문학 교육의 측면에서는 학습자들에게 고전서사문학 작품의 향유 메커니즘에 대한 교육을 수행하여 이들이 작품을 접하는 방식을 새롭게 전환시켜야 하며, 그 연장선상에서 작품․정전의 권위에 흠집을 내고 자신만의 이야기를 풀어갈 수 있는 비판적 자기화 교육이 필요하다. 이렇듯 고전서사문학에 대한 그간의 잘못된 인식을 개선함으로써 기존 문학사 연구 및 문학 교육 방법론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