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스포츠 경쟁 성향 척도의 타당성 검증Validation of contesting orientation scale in sport

Other Titles
Validation of contesting orientation scale in sport
Authors
천승현송용관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체육교육학회
Keywords
contesting orientations; partnership orientation; peer motivational climate; reliability; validity; war orientation; 대립 성향; 또래 동기 분위기; 스포츠 경쟁 성향; 신뢰도; 타당도; 협력 성향
Citation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26, no.4, pp.181 - 195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ume
26
Number
4
Start Page
181
End Page
195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8259
ISSN
1229-9685
Abstract
목적: 경쟁이론(contesting theory)에서는 경쟁의 의미를 상호간에 서로 노력하고 협력을 강조하는 협력 성향과 상대방과의 적대적 상황에서 개인의 야욕과 우위적 성향을 보이는 대립 성향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 연구는 Shields, Funk, & Bredemeier(2015a)가 개발한 스포츠 경쟁 성향 척도가 국내에서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부가적으로 또래동기분위기와 스포츠 경쟁 성향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방법: 서울 및 경기도 지역 고등학교와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운동선수 225명을 대상으로 또래동기분위기와 스포츠 경쟁 성향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해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2요인 12문항 보다는 2요인 11문항의 적합도 지수 결과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적합도 지수가 기준치를 충족하지는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신뢰도 결과는 모두 높은신뢰도 계수 값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척도는 향후 국내 스포츠 상황에서 선수들과 참가자들의 경쟁 성향과 특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될수 있지만, 2요인 구조의 일부 모델 적합도 지수가 기준치에 부합하지 않아,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반복적인검증이 필요하다. 나아가 스포츠인성과 도덕성 발달에 있어서 개인이 지닌 경쟁 성향의 영향력을 확인하기위해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서 이 척도의 보편성을 검증 및 확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