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가장본家藏本 『춘추고징春秋考徵』과 『민보의民堡議』의 문헌적 검토An Philological Analysis on the Tasan Family Collection’s Manuscripts of Chunchu gojing(『春秋考徵』) and Minboui(『民堡議』)

Other Titles
An Philological Analysis on the Tasan Family Collection’s Manuscripts of Chunchu gojing(『春秋考徵』) and Minboui(『民堡議』)
Authors
박종천
Issue Date
2021
Keywords
CWY); Chunchu gojing(『春秋考徵』); Minboui(『民堡議』); SB); SG); YJ); the Complete Writings of Yeoyudang(『與猶堂全書』; the Saam Byuljip(『俟菴別集』; the Saam Gyeongjip(『俟菴經集』; the Tasan family collection’s manuscripts; the Yeoyudangjip(『與猶堂集』; 『민보의』; 『춘추고징』; 가장본; 사암경집; 사암별집; 여유당전서; 여유당집; 필사본
Citation
다산학, no.39, pp.113 - 166
Indexed
KCI
Journal Title
다산학
Number
39
Start Page
113
End Page
166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8302
ISSN
1598-8856
Abstract
본 연구는 문헌적 접근을 통해 다양한 『춘추고징』 필사본들을 비교검토하여, ‘사암경집’ 계열 필사본들인 버클리본과 규장각본이 각각 1830 년 이전의 3차 수정고본과 그 전사본인 반면, 최근 그 실체가 확인된 김영호 소장 가장본 『춘추고징』이 ‘여유당집’ 계열 필사본이자 1833년 이후에 수정하고 추가보완한 4차 수정고본으로서 신조선사본 『여유당전서』의 저본이 되는 정고본 단계의 필사본임을 밝혔다. 아울러 김영호소장 가장본 『민보의』가 2권 체계의 목차를 지닌 여유당전서보유본과사암별집A본으로부터 영향을 받으면서 3권 체계의 완전한 목차를 지닌‘여유당집’ 계열의 정고본임을 규명했다. 요컨대, 여유당집 계열 필사본인 김영호본 『춘추고징』과 김영호본『민보의』는 모두 가장본인 동시에 최종 수정을 거쳐 『열수전서』로 간행할 예정이었던 정고본이다. 따라서 문헌적 검토와 전승사적 관점에서이러한 경향을 확대 적용하면, 사암경집 혹은 사암별집 계통의 필사본들은 초고본에서 수정고본 단계에 해당하는 초기 필사본들이고, 여유당집 계통의 필사본들은 대체로 수정고본에서 정고본을 거쳐 전사본에이르는 후기 필사본인 경우가 많으며, 여유당집 계열의 필사본 중 최종수정고본이 정고본으로서 신조선사본 『여유당전서』의 저본이 된 경우가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ssociate Research Center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Jong Chun photo

Park, Jong Chun
민족문화연구원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