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녹둔도에 대한 문헌 기록의 검토와 녹둔도농보의 위치Review of literature records on Nokdundo Island and the location of Nokdundo Nongbo

Other Titles
Review of literature records on Nokdundo Island and the location of Nokdundo Nongbo
Authors
정호섭김경태
Issue Date
2021
Publisher
백산학회
Keywords
Josanbo; Nokdundo Island; Nokdundo Nongbo; Seong-jang; Yi Sun-shin; 녹둔도; 녹둔도농보; 둔전; 성장; 이순신
Citation
백산학보, no.121, pp.101 - 136
Indexed
KCI
Journal Title
백산학보
Number
121
Start Page
101
End Page
136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8606
ISSN
1225-7109
Abstract
본 논문은 녹둔도에 대한 문헌기록을 검토하고, 이에 더하여 회화 및 지도자료, 그리고 지리적조사 성과를 활용하여 녹둔도농보의 위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두만강 하구에 위치했던 녹둔도는조선시대 이래 국경의 군사 요지로서 관리되었다. 이른 시점부터 둔전이 설치되었으나 여진족과의 충돌 속에 운영이 정지되기도 했다. 16세기 중후반 둔전이 다시 설치되었고 이순신의 지도하에 높은 성과를 거두었으나, 녹둔도 전투 이후 다시 폐지되었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녹둔도는 점차 청측에 연접하게 되었다. 조선은 자국의 영토로서 녹둔도를 확보하기 위해 여러 관리 방안을모색했으나, 둔전설치까지 이어지지는 못했다. 그리고 1860년대 이후 러시아가 영유권을 행사하게 되었으나 조선은 이를 돌려받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 한편 녹둔도농보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문헌자료에 대한 엄밀한 재검토뿐만 아니라, 지도, 회화, 그리고 지리적 연구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해야만 한다. 녹둔도는 인공적인 구조물을 상정해야하며, 문헌에 나타난 거리와 지리적 특성과 부합되는 곳을 찾는다면 성장(城場) 지역일 가능성이 높다. 조산보와의 관계및 나루와 물길을 검토할 때, 녹둔도에서 수확한 식량을 작포도에서 배에 실어 토리동으로 보낸후 조산보로 옮겼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