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麗圖經』 譯註」 (18) -권22 「雜俗1」과 권23 「雜俗2」편의 분석을 중심으로-Gaolitujing Annotated (18)
- Other Titles
- Gaolitujing Annotated (18)
- Authors
- 홍민호; 이진한; 박서현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고려사학회
- Keywords
- miscellaneous customs(雜俗); banquet; administration; payment of servant (給使); daily life; foodstuffs; local product(土産); 잡속(雜俗); 연회; 행정; 급사(給使); 일상생활; 식자재; 토산(土産).
- Citation
- 韓國史學報, no.87, pp.221 - 275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韓國史學報
- Number
- 87
- Start Page
- 221
- End Page
- 275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42303
- DOI
- 10.21490/jskh.2022.5.87.221
- ISSN
- 1229-6252
- Abstract
- 『高麗圖經』은 1123년(인종 1)에 宋 사신단으로 고려에 온 서긍이 한 달 남짓 체류하면서 견문한 내용을 정리한 기록물이다. 본고는 그 동안 이루어졌던 교감・역주 작업의 연장선에 있으며, 권22, 「雜俗1」편과 권23, 「雜俗2」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雜俗1」은 주로 고려 관인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庭燎」・「秉燭」・「挈壺」・「鄕飮」 등은 서긍이 연회 과정에서 직접 겪었거나 볼 수 있으리라 생각되는 것들이다. 「庭燎」・「秉燭」은 고려가 밤을 밝히는 방식을, 「鄕飮」은 연회시 술차림과 행동을, 「挈壺」는 시간을 알리는 방법을 담았다. 또 일상적인 업무나 예절에 대해서 다룬 「治事」・「答禮」도 마련되어 있고, 관인과 부인이 말 타고 가는 모습 및 從者 지급과 관련한 「給使」・「女騎」도 구성되어 있다. 「雜俗2」는 「刻記」 정도를 제외하면 民庶까지를 포함하는 일상을 다루었다. 「澣濯」은 빨래・목욕을, 「樵」는 일상 목재 수급 방법을, 「刻記」는 물자 출납 방식을, 「施水」는 구호의 일면을 다루었다. 「種蓺」・「漁」・「屠宰」 등은 각각 곡물・해산물・축산물의 생산・가공에 관한 것이며, 「土産」은 고려의 토산물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러한 기록들이 고려인의 일상과 고려 사회를 이해하는 데 큰 단서가 되고 있다. 본고는 위와 같은 특징을 바탕으로 교감・역주를 진행하여 「雜俗1」・「雜俗2」편의 사료적 가치를 재확인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