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층과 청년층의 차별적 정치참여 요인: 디지털 미디어 이용의 효과를 중심으로Generation-Differential Paths to Political Participation: Focusing on the Effects of Digital Media Use
- Other Titles
- Generation-Differential Paths to Political Participation: Focusing on the Effects of Digital Media Use
- Authors
- 민영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 Keywords
- Older and Younger AdultsPolitical ParticipationCivic Voluntarism Model Digital Media Use; 노년층청년층정치참여자발적 시민참여 모형디지털 미디어
- Citation
- 언론정보연구, v.59, no.3, pp.64 - 97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언론정보연구
- Volume
- 59
- Number
- 3
- Start Page
- 64
- End Page
- 97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43483
- DOI
- 10.22174/jcr.2022.59.3.64
- ISSN
- 1738-6195
- Abstract
- 이 연구는 탈정치화 세대로 지목되어 온 청년층과 비교하여 노년층의 정치참여 요인을 탐색했다. 이를 위해 2020년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만 60세 이상과 만 18세에서 29세 사 이 유권자들에 대한 전국 단위 온라인 조사(N = 600)를 실시했다. 자발적 시민참여 모형을 적용하여 두 연령층을 비교한 결과, 20대의 참여에는 모든 정치 활동 유형에 대해 정치심리적 요인이 더 중요하게 작용했다. 가장 제도화된 활동인 투표 참여에는 의무적 시민성이 유의미한 동인으로 나타났으며, 정치지식은 제도적, 비제도적 활동 모두 를 촉진하여 ‘지식 → 참여’ 경로의 중요성을 보여줬다. 60세 이상 연령층의 정치참여에 는 동원연결망 요인이 더 중요한 경로로 작동했으며, 특히 투표를 제외한 모든 유형에 대해 디지털 미디어 이용이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노년층이 온라인 공간에서 활발하게 정치 정보를 접하고 정치 대화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이 정치참여를 촉진한다는 결과는 디지털 변혁과 초고령화가 동시에 진행되는 사회적 환경에서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연구 결과는 세대간의 디지털 격차뿐만 아니라 노년층 내부의 격차에 대해서도 주목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School of Media & Communication > School of Media & Communicatio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